민병석 LG CNS D&A플랫폼 담당이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 앞서 사진 촬영을 하고 있다. LG CNS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업이 생성형 AI로 비즈니스를 혁신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플랫폼' 활용입니다."
민병석 LG CNS D&A(Data Analytics & AI) 사업부 플랫폼 담당은 최근 매일경제신문과 인터뷰에서 "여러 부서에서 생성형AI 서비스를 산발적으로 구축하면 유사 서비스에 대한 중복 투자로 이어져 비효율이 증가할 수 있는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면 여러 생성형AI 서비스를 자산화(Assetization)하고 체계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난해 10월 LG CNS가 출시한 'DAP GenAI 플랫폼'이 제조, 금융, 공공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으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소개했다. DAP GenAI 플랫폼은 이메일, 보고서 작성 등 문서뿐만 아니라, 상품 디자인이나 마케팅을 위한 이미지도 만들어 낸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민 담당은 "최근 제조기업들과 업무를 혁신하는 프로젝트를 착수했고, 이와 별도로 10여 개 기업과 DAP GenAI 플랫폼 도입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기업이 생성형AI 기술을 도입하는 것 못지않게 기업 내부 데이터를 표준화하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민 담당은 "대부분의 기업은 업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생성형AI를 도입한다"라며 "이를 위해서는 하나의 플랫폼에서 표준화된 방식으로 모든 사내 정보를 통합 구축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기업 고유 지식을 기반으로 생성형AI가 작동해야 기업이 원하는 성과물이 나오기 때문에, 생성형AI 서비스를 위한 '통합 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이 같은 관점에서 DAP GenAI 플랫폼은 'GenAI Knowledge Lake'라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라며 "기업 고객들은 사내에 보유한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한글문서, PDF, 이미지 등 업무에 사용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모두 지식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민 담당은 기업 고객이 항상 최신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도 플랫폼의 강점이라고 전했다. LG CNS는 △오픈AI 'GPT' △앤트로픽 '클로드(Claude)' △구글 '팜2(PaLM2)' △LG AI연구원 '엑사원(EXAONE)' 등 다양한 모델의 최신 버전을 DAP GenAI 플랫폼에 탑재하고 있다. 오픈소스 형식의 대형언어모델(LLM)을 미세조정해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LLM을 만들 수도 있다. 예컨대 은행이 보유한 대출·연금·펀드상품 등 다양한 데이터를 LLM에 학습시킴으로써 해당 은행의 정보만이 담긴 '프라이빗 LLM'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LG CNS는 플랫폼 고도화를 위해 글로벌 DX기술동맹 체계도 구축 중이다. LG CNS는 지난달 생성형 AI 분야를 선도하는 미국 스타트업 스케일 AI(Scale AI)와 MOU를 체결했다. 스케일 AI는 오픈AI와 같은 빅테크 기업의 LLM 구축에 관여하고, 최근 미국 국방부의 생성형AI 모델을 검증하는 사업을 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LG CNS는 스케일AI와 기술 협력을 통해 'DAP GenAI 플랫폼' 성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김도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