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기시다 "日수산물 금수 철폐해야"…리창 "핵오염수 책임 다하라"(종합2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서 중일 정상회담…"경제 고위급 대화·고위급 인문 교류 협상 회의 개최 동의"

기시다, '中 대만포위 훈련' 우려 전달…리창 "역사·대만 문제 등 적절 처리해야"

연합뉴스

정상회담서 악수하는 리창(오른쪽) 중국 총리와 기시다(왼쪽) 일본 총리
[교도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도쿄·베이징=연합뉴스) 박성진 정성조 특파원 =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26일 정상회담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 해제를 놓고 입장차를 드러냈다.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차 이날 서울을 방문한 기시다 총리는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개최한 리 총리와 양자 회담에서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 조치를 즉시 철폐하라"고 요구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중국은 지난해 8월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일본 정부 명칭 '처리수')의 해양 방류를 시작하자 이에 대한 대응 조치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했다.

교도는 양국 총리가 이 문제에 대해 실무 레벨에서 협의를 가속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리창 총리는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 문제는 전 인류의 건강에 관련됐다"며 "일본이 자기 책임과 의무를 실질적으로 이행하기를 희망한다"는 중국 당국 종전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전했다.

수입 금지 조치와 관련한 발언이 있었는지는 보도되지 않았다.

기시다 총리는 최근 중국군의 이른바 '대만 포위 훈련' 등을 염두에 두고 중국의 군사 활동에 대해서도 우려를 전달하기도 했다.

기시다 총리는 "대만을 둘러싼 군사 정세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면서 "대만해협의 평화와 안정은 국제사회에도 매우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중국의 일본 주변에서 군사 활동에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중국이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 주변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에 설치한 부표를 즉시 철거하라고 요구했다.

반면 리창 총리는 "일본이 약속을 잘 지키고 역사·대만 등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해 중국과 함께 마주보고 가며, 신시대의 요구에 들어맞는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중일 관계를 구축하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이날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고, 반간첩법 위반으로 중국에서 구속된 일본인의 조기 석방도 요구했으나 중국 관영매체는 리창 총리가 어떤 반응을 보였는지 소개하지 않았다.

다만 기시다 총리와 리 총리는 현안에 관한 입장차에도 불구하고 양국 관계를 관리해 나가자는데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시다 총리는 회담 모두 발언에서 "일중 관계를 안정시켜 나가는 것이 양국뿐 아니라 지역과 국제사회에도 유익할 것으로 확인한다"고 밝혔다.

리 총리는 올해 1월 베이징을 방문한 일본 경제단체 관계자들과 회담 등을 언급하며 "지금 중국과 일본의 교류와 협력은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화답했다.

그러면서도 "국제 정세가 양국 관계에 적잖은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우리 사이에 있는 의견 격차를 잘 컨트롤하고 싶다"고 말했다.

CCTV는 "양국은 층위별 대화·소통을 강화해 적시에 새로운 중일 경제 고위급 대화와 고위급 인문 교류 협상 메커니즘 회의를 개최하는 데 동의했다"고 전했다.

기시다 총리는 회담 후 기자들과 만나서는 "'전략적 호혜관계'의 포괄적인 추진과 '건설적이고 안정적인 관계'의 구축이라는 대국적인 방향성을 확인한 뒤 여러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어 의미 있는 회담이었다"고 자평했다.

기시다 총리와 리 총리는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 참석해 잠시 서서 대화를 나눈 적은 있지만 정식 회담은 이번이 처음이다.

sungjin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