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정상회의 명칭은 한중일? 한일중?... 왜 차이가 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국 정상회의 정부 공식명칭, 통상 개최 순번 반영
한국 언론 관행적으로 '한중일' 많이 써
윤석열 정부, 가치연대 내세워 '한일중' 공식화
한국일보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인도네시아(현지시간) 자카르타 컨벤션 센터(JCC)에서 열린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에서 기시다 후미오(왼쪽) 일본 총리, 리창(오른쪽) 중국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는 올해 9회를 맞는 동북아 3국의 최고위 협의체다. 그런데 공식 명칭을 두고 '한일중'과 '한중일'로 달리 부른다. 왜 그럴까.

한국 정부로서 '한국' 먼저 거명…나머지는 개최 순번 따라


한중일 3국은 서울에 협력의 상징인 기구를 두고 있다. '한중일 협력사무국(TCS)'이다. 과거 정상회의가 열릴 경우 각국은 자국의 입장에 따라 명칭을 조금씩 바꿔 불렀다. 우리의 경우, 한중일이 통상 용어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그랬다.

다만, 한국에 붙이는 중국과 일본은 개최순번에 따라 표기를 바꾸는 경우가 있었다. 회의 주최국이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돌아가는데, 그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로 부르기도 했다. 회의 개최 순번에 따라 일본은 주요 언론에서 '일중한(日中韓) 정상회의'라고 표기한다. 중국 또한 개최 순번을 고려해 '중일한(中日韩) 정상회의'라고 지칭한다.

윤석열 정부, 한중일 정상회의 명칭에 외교적 의미 가미…'한일중' 고유명사화


다만, 정부의 표기법과 달리 언론은 한중일 정상회의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남북미', '한미일'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명사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중일회담을 일중회담으로 부르면 이상한 것과 매한가지다. 낮밤 대신 밤낮, 인계인수 대신 인수인계라는 표현이 더 자연스럽다.

이 고유명사에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이 바로 윤석열 정부다. 지난해 9월 열린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3 정상회의에서 윤 대통령은 관례대로 써오던 한국, 중국, 일본 3국을 칭하는 '한중일' 대신 '한일중'이라는 표현을 공식 외교석상에서 사용했다. 2022년 11월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 당시만 해도 윤 대통령은 '한중일'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도중에 용어가 바뀐 것이다.

당시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자카르타 현지 브리핑에서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국, 일본과 보다 긴밀한 기술, 정보, 안보 협력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북미'보다 '미북' 관계로 보고 있고,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3국 표기법에 외교적 의미를 가미한 것이다.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6월 발표한 '국가안보전략 지침서'에는 일본 다음으로 중국이 언급돼 있기도 하다.

양자 갈등 변수…3국 회의, 정치 현안으로 연기된 경우 많아


한중일 3국 간 회의는 1999년 아세안+3(동남아국가연합 10개 회원국+한중일) 정상회의에서 일본 쪽 제안으로 한중일 정상이 비공식 조찬 모임을 하면서 시작됐다. 하지만 아세안+3 정상회의 계기가 아닌 별도 정상회의가 열린 것은 2008년이다. 이는 한국 정부의 제안으로 2007년 3국이 공식 합의하면서 성사됐다.

2008년 일본 후쿠오카에서의 첫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의는 1년에 한 번씩 개최하는 것으로 정례화됐고, 의제도 경제와 핵안보, 재난 대처, 군축 비확산 등으로 확대됐다. 그러나 양자 갈등을 이유로 개최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2013년과 2014년은 중일 관계 악화로 개최되지 못했다. 어렵게 2015년 다시 열렸지만, 한일·한중 갈등으로 이후 3년간 다시 중단됐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이후 2018년 일본, 2019년 중국에서 열렸다.

문재연 기자 munja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