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물가와 GDP

고물가·고금리에 중산층 5집 중 1집은 '적자 살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1분기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가량은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물가·고금리와 근로소득 감소가 맞물리면서 고소득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증가했습니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였습니다.

1년 전(26.7%)과 비교하면 0.1%포인트 소폭 증가했습니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증가해 18.2%가 됐으며,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로 나타났습니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소비 여력보다 더 많은 돈을 쓰는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입니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p 증가한 9.4%를 기록했습니다.

2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도 1년 전보다 0.9%p 증가한 28.9%였고 반면 1분위의 적자 가구 비율은 2.0%p 감소해 60.3%로 개선됐습니다.

높은 물가와 금리가 계속되면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증가했지만, 소득이 이를 상쇄할 만큼 늘지 못하면서 적자가 확대된 것으로 풀이됩니다.

1분기 월평균 가계소득은 1년 전보다 6만 8천 원(1.4%) 늘었지만, 가계지출은 9만 9천 원(2.5%) 증가했습니다.

이자 비용도 1만 4천 원(11.2%) 늘었습니다.

반면 근로소득은 1년 전보다 3만 5천 원(1.1%) 줄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자 가구 비중이 높은 중산층·고소득층 가구의 살림살이가 더 큰 타격을 입었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입니다.

(사진=연합뉴스)

김지성 기자 jisung@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