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치즈가 피자에 안 붙어" 질문에 구글 AI "접착제 넣어 봐" 황당 답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AI 기반 구글 새 검색 기능 'AI 오버뷰',
질문에 위험·엉뚱 답변" 인증글 잇따라
한국일보

지난 14일 미국 실리콘밸리 구글 본사에서 열린 구글 연례 개발자 회의에서 리즈 리드 구글 검색 담당 수석부사장이 'AI 오버뷰'를 소개하고 있다. 마운틴뷰=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치즈가 피자에 달라붙지 않아."

"소스가 너무 많거나, 치즈가 너무 많거나, 소스가 걸쭉하거나 같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치즈가 피자에서 미끄러질 수 있어요. 소스에 무독성 접착제를 8분의 1컵 정도 추가하면 점성을 더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인공지능(AI) 기반 새 검색 기능인 'AI 오버뷰'의 답변이다.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된 이 답변처럼, AI 오버뷰가 일부 검색에 부정확한 결과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은 "매우 드문 사례"라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생성형 AI의 치명적 문제점을 드러낸다"고 분석한다.
한국일보

한 엑스 이용자가 AI 오버뷰의 황당 답변이라며 공유한 캡처본. '치즈가 피자에 달라붙지 않는다'는 검색에 AI는 소스에 접착제를 추가하라는 내용의 답변을 내놨다. 엑스(X)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서 구글이 지난 14일 연례 개발자 회의(I/O)에서 첫 공개한 AI 오버뷰는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해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가 이용자가 필요로 할 만한 검색 결과를 요약해 출처와 함께 보여준다. 구글은 최근 AI 오버뷰를 미국에 우선 출시했는데, 이후 각종 커뮤니티에는 '황당 답변을 받았다'는 인증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AI 오버뷰는 '개가 북미아이스하키리그에 출전한 적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 2018년 63경기에 출전했다"고 답하는가 하면, '2차 세계대전 때 영국 런던의 빅벤이 독일 폭탄에 의해 파괴됐느냐'는 질문에 "지붕이 손상됐다"고 했다. 이 매체는 "한 이용자가 '올해 개봉 영화 중 가장 큰 실패작'을 검색하자 미래 흥행 수치를 예측하는 웹사이트가 결괏값으로 표시됐다고 한다"며 "AI 오버뷰는 이를 토대로 아직 개봉하지도 않은 영화를 이미 실패작이 됐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고 전했다.

진실 판단 못하는 AI 문제점 드러나


구글은 이 같은 AI 오버뷰의 불완전한 답변들에 대해 "매우 드문 사례"라며 "이용자 대부분의 경험을 대표하지 않는다"고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밝혔다. 그러나 이 매체는 보고된 사례들이 "단지 '구성'만 할 수 있는 생성형 AI 검색의 치명적인 문제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소스에 접착제를 추가하라는 답변의 출처는 과거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농담으로 알려졌는데, AI가 이를 농담이나 거짓으로 판단하지 못해 답변에 인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AI가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인 양 말하는 현상(환각)은 챗GPT 등장 이후 줄곧 지적돼 온 것이다. 그런 만큼 많은 사람이 인지하고 있기는 하지만, 구글 검색의 경우 전 세계 20억 명이 이용하는 서비스라는 점에서 부정확한 답변은 훨씬 크고 심각한 문제를 낳을 수 있다. 구글은 연말이면 10억 명이 AI 오버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출시 국가를 확대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실리콘밸리= 이서희 특파원 shle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