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엔비디아 2.6% 상승에…나스닥 또 사상 최고치[월스트리트in]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시간 1년 기대인플레, 예비치보다 둔화..소비자심리 꺾여

“소비자 지출이 둔화되면 인플레이션 압력도 완화 가능”

금리인하 가능성 반신반의…골드만 7→9월 인하시기 미뤄

국제유가 5거래일 만에 반등…유럽 증시 혼조세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나스닥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뉴욕증시가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소비자 기대치들이 당초 예상보다 둔화됐고, 소비자심리도 한풀 꺾이면서시장은 안도했다. 엔비디아가 이날도 2.6%가량 오른 점도 주가 상승의 원동력이었다.

2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0.01% 상승한 3만9069.59를 기록했다.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지수는 0.70% 오른 5304.72를,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지수도 1.10% 상승한 1만6920.79에 거래를 마쳤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시간 1년 기대인플레, 예비치보다 둔화..소비자심리 꺾여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소비자들의 심리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대에 따르면 5월 소비자심리지수 확정치는 69.1로 집계됐다. 6개월 만에 최저치로, 4월 (77.2) 대비 크게 급락했다.

이는 앞으로 인플레이션이 계속 될 것이라는 우려에 소비자들이 졸라 메고 있다는 뜻이다. 실제 1년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3.3%로 직전월(3.2%)보다 소폭 올라갔다. 하지만 이달초 발표된 3.5%보다 낮아지면서 투심이 살아났다. 5년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확정치는 3.0%로 직전월과 같았다.

LPL 파이낸셜의 제프 로치는 “소비자들은 인플레이션 궤도에 비관적이지 않다”며 “소비자 지출이 둔화되면 인플레이션 압력도 완화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장은 다음주 금요일 발표될 4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를 주목하고 있다. 지난주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둔화됐던 만큼 PCE 역시도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LPL 파이낸셜의 퀸시 크로스비는 “데이터가 예상보다 시원하게 나온다면, PCE지표는 시장에 확실한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금리인하 가능성 반신반의…골드만 7→9월 인하시기 미뤄

다만 월가에서는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 가능성에 대해 반신반의 하는 분위기다. 아직 인플레이션이 소폭이나마 둔화했다는 데이터는 한달치밖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최소한 한 분기 이상은 이어져야 연준이 금리인하에 대한 확신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상황에서 골드만삭스는 연준의 금리인하 시기를 7월에서 9월로 미뤘다.

엔비디아는 이날도 2.57% 오르며 1064.69달러를 기록했다. 매 분기마다 사상 최고 실적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10대1 액면분할 소식까지 더해지면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외 테슬라(3.17%), 메타(2.67%), 넷플릭스(1.74%), 알파벳(0.83%), 애플(1.66%), 마이크로소프트(0.74%) 등 매그니피센트7이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연휴를 앞두고 조기 장을 마감한 국채는 혼조세를 보였다. 10년물 국채금리는 전 거래일 대비 0.8bp(1bp=0.01%포인트) 내린 4.467%를, 30년물 국채금리도 0.7bp 하락한 4.537%에서 거래됐다. 연준 정책에 민감하게 연동하는 2년물 국채금리는 1.5bp 오른 4.948%에서 장을 마감했다.

달러가치도 하락했다.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 대비 0.37% 내린 104.72를 기록 중이다.

국제유가 5거래일 만에 반등…유럽 증시 혼조세

국제유가는 5거래일 만에 올랐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원물일 7월 인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장 대비 0.85달러(1.11%) 오른 배럴당 77.7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ICE선물거래소에서 7월 인도분 브렌트유 가격은 전장 대비 0.9%(0.76달러) 오른 배럴당 82.12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나흘 연속 하락에 따른 저가매수세가 들어온 것으로 해석된다.

유럽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영국FTSE100지수와 프랑스 CAC40지수는 각각 0.26%, 0.09% 하락했다. 독일 DAX지수는 0.01% 오른 보합이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