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김영호 “고교생 납북사건 중대 아동인권침해…북한 당국 돌려보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1977, 1978년 발생한 선유도·홍도 고교생 납치사건을 규탄하고 북한 당국에 납북자 송환을 촉구했다.

김 장관은 이날 전북 군산 선유도해수욕장에서 열린 고교생 납북자 송환기원비 제막식에서 기념사를 하면서 “우리가 잃어버린 아이들, 김영남, 이민교, 최승민, 이명우, 홍건표. 40여 년 전 이들은 여름방학을 맞아 친구들과 바닷가로 피서를 떠난 천진한 고등학생들이었다”며 “이들이 북한의 불법적인 납치로 인해 소중한 가족과 이별을 한지 벌써 반세기가 돼 간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김영호 장관이 전북 군산 선유도해수욕장에서 열린 송환기념비 제막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통일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어 “북한 당국은 사건 발생 당시 미성년으로 국제법상 아동이었던 소년들에게 납치라는 중대한 아동인권침해를 가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UN아동권리협약 7조와 9조는 모든 아동이 부모로부터 양육 받을 권리와 부모와 함께 살 권리를 가지고 있음을 천명하고 있다”며 “아동권리협약 당사국인 북한은 협약의 정신에 입각하여 이제라도 우리 고교생 5명 전원을 가족의 품으로 송환하고 납북자 문제해결에 전향적으로 호응해 오기를 다시 한 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 “우리 납북 고교생들의 부모도 일본 메구미양의 부모도 생명보다 귀한 자식을 사랑하고 양육할 권리를 하루아침에 박탈당했다”며 “미성년 아동을 포함한 북한의 납치·억류 문제는 우리 국민뿐만 아니라 여러 국적의 피해자가 존재하는 국제적인 인권 문제”라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김영호 통일부 장관 등이 1977년 고교생 납북 사건이 발생한 전북 군산 선유도해수욕장에서 송환기념비 제막식을 열고 있다. 통일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 장관은 “국제사회가 연대해 북한의 납치 범죄를 집중 조명하고 책임규명을 위한 실질적 조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며 “오늘 통일부는 5명의 소년들과 그 가족의 아픔이 잊혀지지 않도록 납북 피해자가 발생한 이 장소에 고교생 납북자 송환기원비를 세우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통해 납북된 국민들의 송환을 촉구하고 그 아픔에 공감하는 국민적 목소리가 확산되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세계일보

김영호 통일부 장관(왼쪽 두번째)과 이신화 외교부북한인권대사, 줄리 터너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등이 송환비에서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통일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또 “납북된 국민들이 다시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우리 국민 여러분께서 통일부의 노력에 한 마음으로 함께 해주시길 당부드린다”며 “앞으로 통일부는 납북된 국민들이 다시 돌아오는 그 날까지 문제 해결을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덧붙였다.

통일부는 이날 납북자 김영남씨가 1977년 북한 공작원에 의해 납북된 현장인 전북 군산 선유도해수욕장에 송환 기념비를 세우고 제막식을 열었다. 제막식에는 김 장관과 이신화 외교부 북한인권대사,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납북자 가족들이 참석했다.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