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지역 국립대, '메가 의대'로 커졌다…미니 의대도 100명 안팎으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늘(24일) 2025학년도 의대 증원이 확정되면서 지역 국립대와 비수도권 소규모 의대가 큰 수혜를 보게 됐습니다.

지역 국립대는 지역 필수의료 거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서울대보다 큰 규모의 '메가 의대'로 재탄생합니다.

정원이 50명 이하였던 소규모 의대들은 정원이 100명 안팎으로 늘어나면서 의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습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오늘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달개비에서 대학입학전형위원회를 열고, 32개 의대의 증원 인원을 반영한 2025학년도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을 심의, 승인했습니다.

이로써 2025학년도 의대 증원에 '쐐기'를 박게 됐습니다.

애초 정부는 2025학년도부터 의대 증원을 2천 명 늘리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각 대학의 여건을 고려해 2025학년도에 한해 증원분의 50∼100%만 뽑을 수 있게 허용하면서 32개 의대의 총 증원 규모는 1천509명으로 줄었습니다.

내년 전체 의대 모집인원은 기존 3천58명에서 4천567명으로 늘어납니다.

9개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학은 모두 2025학년도에 증원분의 50%만 반영해 뽑습니다.

9개교의 증원 규모는 총 405명입니다.

이 가운데 ▲ 경북대 155명 ▲ 경상국립대 138명 ▲ 부산대 163명 ▲ 전북대 171명 ▲ 전남대 163명 ▲ 충남대 155명 등 6개 대학이 서울대(정원 135명)보다 큰 규모로 증원됐습니다.

충북대는 125명, 강원대는 91명, 제주대는 70명을 각각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비수도권 거점 국립대를 정부가 집중적으로 증원한 것은 '지역의료·필수의료 거점'으로서 역할을 강화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취지입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개 사립대 가운데 정원이 50명 이하였던 14개 소규모 의대도 대폭 증원됐습니다.

정원이 각각 40명이었던 성균관대와 아주대, 울산대는 110명을 선발합니다.

이들 대학은 애초 이번 증원으로 정원이 120명으로 늘어날 예정이었으나, 내년에는 10명을 줄여 뽑습니다.

단국대(천안) 역시 기존 정원 40명에서 증원분의 50%를 적용해 모두 80명을 선발하기로 했습니다.

나머지 소규모 의대들은 정부에서 배정받은 증원분을 모두 선발합니다.

▲ 차의과대(기존 정원 40명) 80명 ▲ 인하대(49명) 120명 ▲ 가천대(40명) 130명 ▲ 가톨릭관동대(49명) 100명 ▲ 동국대 분교(49명) 120명 ▲ 대구가톨릭대(40명) 80명 ▲ 동아대(49명) 100명 ▲ 건국대 분교(40명) 100명 ▲ 건양대(49명) 100명 ▲ 을지대(40명) 100명 규모로 커졌습니다.

정부가 소규모 의대에 증원분을 집중적으로 배정한 것은 의학교육의 효율성을 위해 규모를 키워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결과입니다.

그간 소규모 의대들은 의대 운영에 투입되는 인적·물적 자원에 비해 정원이 지나치게 적어 운영상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습니다.

거점 국립대나 소규모 의대가 아닌 나머지 9개 의대 중에서 2025학년도 모집인원을 당초 증원분보다 줄여 뽑는 곳은 영남대뿐입니다.

영남대는 기존 증원분 44명을 24명으로 줄이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기존 정원 76명을 포함해 100명을 선발하게 됩니다.

이외에 ▲ 연세대 분교(기존 정원 93명) 100명 ▲ 한림대(76명) 100명 ▲ 계명대(76명) 120명 ▲ 인제대(93명) 100명 ▲ 고신대(76명) 100명 ▲ 원광대(93명) 150명 ▲ 조선대(125명) 150명 ▲ 순천향대(93명) 150명 등은 정부가 배정한대로 선발 규모가 늘어납니다.

정부는 2026학년에는 예정대로 의대 정원을 2천 명 증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렇게 되면 9개 거점 국립대 중 7개 대학의 모집 인원은 200명으로 더욱 커집니다.

실제로 각 대학은 지난달 말 '2026학년도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공표하고, 2025학년도와 달리 2026학년도에는 정부 배정대로 의대 정원을 선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변수는 남아 있습니다.

의료계에서 정부를 상대로 의대 정원 증원·배정 집행정지를 신청하고 본안 소송까지 제기한 상태이기 때문입니다.

사법 당국이 대규모 증원에 따라 교육 여건이 악화해 의대생들이 입는 피해가 명백하다고 판단할 경우, 2026학년도 2천 명 증원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전공의들이 여전히 '2천 명 증원 백지화'를 요구하면서 의료 현장으로의 복귀를 거부하고 있는 것도 2천 명 증원 정책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 sbsnewmedi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