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VIP 격노' 들은 추가 목격자, 녹취까지... 짙어지는 대통령실 개입 의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박정훈 대령 외에 김계환 발언 청취자 있어
이첩 보류, 경찰 회수 양쪽서 용산 관여정황
한국일보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전경. 한국일보 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병대원 사망 사건이 경찰에 이첩되는 과정에서,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중장)에게 'VIP(윤석열 대통령) 격노' 발언을 들었다는 군 관계자가 또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제기한 'VIP 격노설'의 신빙성을 높여주는 정황이 될 수 있다.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국방부 법무관리관 사이 통화'에 이어, 추가로 드러난 용산의 사건 개입 정황이다.

23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최근 해병대 간부 A씨를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는 과정에서 "해병대 수사단의 결론을 들은 VIP가 격노했다는 말을 김계환 사령관에게 들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A씨는 '해병대 수사단 조사 결과'의 경찰 이첩이 보류된 다음날(지난해 8월 1일) 오전, 김 사령관이 향후 대응 방안 관련 회의를 주재하면서 'VIP 격노' 사실을 전했다고 진술했다. A씨는 박 대령과 별도의 해병대 관계자다. 당시 회의에는 김 사령관, 박정훈 대령, A씨 등 다수 간부가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뒷받침할 증거도 확보했다. 김 사령관과 A씨의 통화를 녹음한 파일에도 'VIP 격노'를 암시하는 부분이 있는데, 공수처는 이 단서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수사외압 원인으로 'VIP 격노'를 주장한 건 박 대령뿐이었다. 이첩 보류 당일(7월 31일) 김 사령관이 박 대령을 따로 불러 "대통령실 VIP 주재 회의(같은 날 오전 11시)에서 수사 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VIP가 격노하면서 국방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알려줬다는 것이 박 대령 주장이다. 이런 상황에서 'VIP 격노' 발언이 또 있었다는 진술과 정황 증거가 추가로 드러나면서, 대통령실 개입과 외압 의혹에 대한 공수처의 수사 필요성은 더 커지게 됐다.

대통령실 개입 정황은 이것 말고도 또 있다. 박 대령이 명을 어기고 사건을 경찰에 이첩(8월 2일) 하자, 이를 군이 도로 회수하는 과정에서도 불거졌다.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이시원 당시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이 사건 회수 전후로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받은 통화내역이 수사를 통해 드러났다. 대통령실이 △경찰 이첩 보류 △ 이첩 사건 회수 과정 모두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의심이 짙어지는 대목이다. "VIP라는 말은 언급한 적도 없다"는 김 사령관 주장의 설득력도 다소 떨어지게 됐다.

공수처는 'VIP 격노' 사실을 김 사령관에게 전한 연결고리를 찾는 데 수사력을 집중할 방침이다. 김 사령관은 대통령실 회의 당일인 7월 31일 △대통령실 번호 △김형래 대령(대통령실 국가안보실 파견) △임기훈 대통령실 국방비서관 등과 통화했다. 김 사령관은 이종섭 당시 국방부 장관의 군사보좌관 박진희 소장과도 여러 차례 통화했다. 공수처는 김 사령관의 'VIP 격노' 발언을 들은 국방부 및 군 간부들이 더 있는지도 살피고 있다.


최동순 기자 dosool@hankookilbo.com
박준규 기자 ssangkkal@hankookilbo.com
강지수 기자 soo@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