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강에 오렌지주스 풀어놓은 듯…청정 대명사 알래스카에 무슨 일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온난화 속도가 다른 일대보다 2∼3배 빨라

주황빛으로 변하는 현상 2018년 처음 관찰돼

깨끗하고 투명한 것으로 이름난 미국 서북단 알래스카의 강 수십 개가 마치 녹을 푼 듯한 주황빛으로 변해 전문가들이 우려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현상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영구 동토 해빙에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은 북극 일대의 지표 아래 동토층이 녹으면서 토양에 갇혀있던 철 등의 광물들이 용출돼 강물 색깔이 변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 보도했다. 북극 일대는 지구 전체에서 지구 온난화가 가장 빠르게 진행되는 지역이다.
아시아경제

주황빛으로 변한 미국 알래스카 북부의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 [사진출처=미국 지질조사국(USG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연구를 이끈 브렛 포울린 미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조교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염되지 않은 강들 일부에서 기후 변화가 가져온 '뜻밖의 결과'를 현재 목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영구 동토층의 해빙으로 토양 속의 철과 구리, 아연, 카드뮴 등 광물이 산소와 반응해 색깔이 변하고, 이런 성분들이 녹아 들어가면서 인공위성 사진에서도 확연히 나타날 만큼 녹슨 듯한 색깔로 강물이 바뀐다는 것이다.
포울린 교수는 "이런 강물이 다른 강과 섞이면 해당 광물들은 수상 생태계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알래스카 강물이 주황빛으로 변하는 현상은 2018년 처음 관찰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당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들이 예년의 수정같이 맑은 빛깔과는 완전히 다른 옅은 오렌지색으로 변한 것을 발견했다. 그 후 1년 안에 코북 밸리 국립공원 내 아킬리크 강의 지류에서는 토종어류 2종이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포울린 교수는 "우리의 조사 결과, 강물이 오렌지색으로 변하면 먹이 사슬의 필수 토대인 강바닥의 대형 무척추동물들과 생물막(biofilm)이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런 현상은 어류의 서식지를 바꿔놓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산화로 인한 변색은 일반적으로 토양 가장 깊숙한 곳까지 녹는 7월과 8월 한여름에 일어나는 계절적인 현상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제 알래스카, 캐나다, 러시아 등 극지방을 포함한 영구동토 지대에서 일어나는 산화로 인한 변색 현상의 장기적 영향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우드월 기후연구센터의 북극 연구자인 스콧 졸코스는 "이 지역은 지구 나머지 일대보다 온난화 속도가 최소 2∼3배는 빠른 곳"이라며 "이런 방식의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