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메타 AI 수장 "LLM, 인간 수준 도달 못해…새 AI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LLM은 사람처럼 사고하지 못해"

'세계모델링' 개발…"차세대 AI 정점"

메타 부사장 겸 AI수석과학자인 얀 르쿤이 챗GPT 등 현재 생성 AI를 구동하는 거대언어모델(LLM)이 인간 지능 수준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얀 르쿤 부사장은 22일(현지시간) 주요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LLM은 논리에 대한 이해가 매우 제한적"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르쿤 부사장은 "(LLM은)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지 못하고, 지속적인 기억력이 없으며, 용어에 대해 합리적인 정의를 추론할 수 없고, 계층적으로 계획을 세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르쿤 부사장은 인간 수준의 AI를 만들기 위해 LLM에만 의존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LLM은 올바른 훈련 데이터가 제공된 경우에만 정확하게 응답할 수 있다"며 "본질적으로 안전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거대기술기업(빅테크)들은 인간처럼 사유하면서 인간을 뛰어넘는 수준의 범용인공지능(AGI)에 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LLM 기술 향상을 추진하고 있다. 오픈AI는 최근 GPT-4o 모델을 출시했으며, 구글은 AI 에이전트 '아스트라'를 공개했다. 메타도 최근 라마3을 발표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르쿤 부사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추론으로 보이지만, 대다수는 많은 학습 데이터에서 축적된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라며 "(LLM은) 한계가 있지만 유용하다"고 평가했다.

대신 인간처럼 생각하고 추론하는 완전히 새로운 AI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며, 이를 실현하는 데 10년이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르쿤 부사장은 메타의 AI 연구소(FAIR)에서 인간과 유사한 방식으로 학습하는 '세계 모델링(world modelling)'을 개발하고 있다.

외신은 투자자들이 빠르게 AI 투자에 대한 수익성을 확보하고 싶어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실험적인 도전은 위험성 높고 많은 비용이 드는 도박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달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메타를 세계 최고의 AI 기업으로 만들기 위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말하자 메타 시총 약 2000억달러(약 273조원)가 증발하기도 했다.

그러나 차세대 AI를 향한 경쟁에서 이미 메타가 앞서고 있다고 르쿤 부사장은 강조했다. 그는 "우리는 아마도 차세대 AI 시스템의 정점에 있다고 생각하는 시점에 와 있다"고 말했다.

FAIR에서는 인간같이 사고하는 AI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아이들의 학습 방식을 모방해 비디오에서 일부를 생략한 뒤 AI가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날지 예측하도록 하거나, 텍스트에 있는 추상적 표현을 비디오와 오디오에 적용하도록 하는 범용 텍스트 인코딩 시스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르쿤 부사장은 "장기적으로 이 기술은 증강현실(XR) 또는 스마트 안경, 근전도검사 팔찌 등 웨어러블 기술을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AI 에이전트를 강화할 것"이라며 "AI 에이전트가 정말 유용하려면 인간 수준의 지능과 유사한 수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