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국가경제 기여" 기업들 비호감 벗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대한상의, 국민 호감 인식 조사 결과 53.7


파이낸셜뉴스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2년 연속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반기업 정서가 한층 누그러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일자리 창출에 앞장서면서 '비호감'에서 '호감'으로 인식이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계는 국민들의 긍정 평가 확대를 위해 경제적 역할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 기여 노력을 지속한다는 계획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 출범 2주년을 맞아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기업에 대한 국민들의 호감인식인 '기업호감지수'를 산출한 결과 53.7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기업호감지수'란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것으로 100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한다. 기준점인 50을 넘으면 기업에 대해 호감을 가진 사람이 비호감을 가진 사람보다 많은 것을 의미한다.

기업호감지수는 첨단 산업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국가경쟁력'과 '생산성·기술향상' 지표가 하락하며 지난해 55.9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2년 연속 호감 기준선인 50점을 상회했다.

특히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지수인 '전반적 호감도(52.6→54.1)'가 상승한 점이 눈에 띈다. 기업에 대한 인식이 5년 전에 비해 좋아졌다고 응답한 국민은 24.8%로 나타나, 나빠졌다(13.1%)고 응답한 국민보다 10%p 이상 많았다.

국민들이 기업에 호감을 갖는 이유로는 '국가 경제에 기여'가 43.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일자리 창출(26.5%) △기업문화 개선에 대한 노력(10.3%)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9.7%) 순이다.

반면 아직 호감을 갖지 않는 이유로는 '준법·윤리경영 미흡(42.7%)'이 가장 많았다.

기업이 각종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는 것에 대해 국민들의 평가는 긍정적이었다. '사회구성원으로서 필수적이다(58.6%)'는 의견이 '기업 본연의 역할이 우선이다(41.4%)'에 비해 앞서, 기업의 사회적 역할 확대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에게 바라는 우선 과제로는 경제적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40.6%)'과, 사회적 분야에서 '근로자 복지 향상(33.5%)'이 꼽혔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올해는 기업에 대한 심리적 호감도가 상승했지만, 국가경쟁력과 생산성 지표 하락으로 전체적 지수가 소폭 하락했다"라며 "기업에 대한 인식을 결정짓는 데 있어 기업의 경제적 역할과 성과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업 본연의 경제적 역할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자는 뜻을 담고 있는 신기업가정신을 확산해 국민들의 긍정 평가가 늘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사회공헌 #생산성 #일자리 창출 #호감 #경쟁력

hoya0222@fnnews.com 김동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