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CarTalk]성능 좋아졌는데 가격은 그대로...벤츠의 대표 전기차 '더 뉴 EQA·EQB' 나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분 변경 모델...가격 동결
6월부터 고객 품으로
한국일보

21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EQA·EQB 출시 행사에서 더 뉴 EQA가 전시돼 있다. 벤츠코리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뉴 EQA'와 '더 뉴 EQB'를 국내 시장에 내놓는다고 22일 알렸다.

벤츠코리아는 출시에 앞서 21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메르세데스-벤츠 더 뉴 EQA·EQB 출시 행사를 열고 기자들에게 더 뉴 EQA를 공개했다. 이날 벤츠코리아에 따르면 이 모델은 각각 2021년, 2022년 국내 출시된 EQA와 EQB의 상품성 개선 모델이다. 엔트리 모델인 두 차량은 벤츠코리아의 전체 전기차 중 41%의 판매량을 기록했다. 벤츠코리아는 이번 부분 변경 모델을 내놓으면서도 가격을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했다고 강조했다.

더 뉴 EQA·EQB의 외관에는 상위 모델과 동일한 삼각별 패턴의 블랙 패널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됐고 테일 램프도 새롭게 디자인됐다. 실내에는 터치형 컨트롤 패널이 장착된 신규 스티어링 휠과 10.25인치 와이드 스크린 디스플레이가 달렸다.

한국일보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킬리안 텔렌 제품·마케팅 및 디지털 비즈니스 부문 총괄 부사장이 21일 서울 동대문구 DDP에서 열린 더 뉴 EQA·EQB 출시 행사에서 두 모델을 소개하고 있다. 벤츠코리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두 모델 모두 국내 인증 기준 1회 충전 시 300㎞ 이상 달릴 수 있다. 더 뉴 EQA는 전륜구동 모델로 65.9킬로와트시(kWh)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담아 1회 완충 시 367㎞를 주행할 수 있다. 더 뉴 EQB는 사륜구동 모델로 EQA와 같은 수준(65.9kWh)의 배터리를 탑재했고 1회 충전 시 302㎞를 주행할 수 있다.

킬리안 텔렌 벤츠코리아 제품·마케팅 비즈니스 부문 총괄 부사장은 "콤팩트 세그먼트 특성상 배터리 용량을 늘리는 데 물리적 한계가 있는 만큼 외관과 기술적 향상을 통해 제품 가치를 높이는 데 집중했다"고 설명했다.

벤츠, 세계 첫 전기차 정면충돌 테스트 결과 공개

한국일보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AG 마르셀 브로드벡 전기차 충돌시험 엔지니어가 21일 서울 중구 DDP에서 개최한 '전기차 안전 인사이트 발표 행사'에서 메르세데스-벤츠 전기차의 안전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벤츠코리아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10월 세계 최초로 전기차 정면충돌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도 공개했다.

벤츠코리아에 따르면 통상 차량을 벽면에 충돌시키거나 차량 전면을 재현한 알루미늄 장애물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벤츠는 2.2톤(t)과 3t에 달하는 순수 전기차 두 대를 직접 충돌시켜 테스트했다. 당시 두 차량은 서로 마주 본 상태로 시속 56㎞로 달려오며 앞 면적 절반(50%)이 엇갈리게 충돌했다. 벤츠코리아는 기존 유로 신차 안정성 평가(NCAP)에서 진행하는 충돌 테스트 규정(시속 50㎞)보다 더 혹독한 환경에서 실험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공개된 차량은 앞면을 덮고 있던 보닛은 종잇장처럼 구겨졌고 바퀴 한쪽이 날아간 채 내부 부품이 휘어진 모습이 바깥으로 훤히 드러나 있었다. 하지만 두 차량 모두 A필러부터 루프, 트렁크에 이르는 앞유리, 운전석 등 뒤쪽 프레임은 온전했다. 각각 4개의 문은 모두 정상적으로 여닫혔고 운전석과 조수석에서는 에어백이 터졌지만 내부는 큰 변형 없이 그대로 유지됐다. 특히 전면 유리와 실내 디스플레이도 실금 하나 없이 원상태 그대로 유지됐다.

마르셀 브로드벡 벤츠 엔지니어는 "충돌 시 전면부가 변형되는 것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아주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된 만큼 사고 직후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다"며 "배터리 주변의 벌집 모양 구조물이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돼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희경 기자 kstar@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