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美 대선서 딥페이크 사라지나…광고서 AI 사용 명시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FCC 규칙안 공개

온라인·스트리밍 AI 광고는 사각지대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미 연방통신위원회(FCC)가 정치 광고에 인공지능(AI)을 사용하는 경우 이를 명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22일(현지시간) 밝혔다.

제시카 로즌워슬 FCC 위원장은 "AI 도구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이런 기술이 사용될 경우 시청자들이 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규칙안을 발표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FCC는 "AI는 올해는 물론 그 이후 정치 광고를 만들 때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그러나 정치 광고에서 AI 사용은, 특히 딥페이크(특정 인물의 얼굴 등을 영상에 합성)를 통해 유권자에게 허위 정보를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규칙안이 FCC에서 채택되면 TV, 라디오, 케이블 등 정치 광고 시 콘텐츠 생성에 AI를 사용했는지 공개해야 한다. 정치 광고에서 AI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규칙안에는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구체적 정의는 포함되지 않았다. 규제의 한계도 있다. AP통신은 "FCC는 TV, 라디오, 일부 케이블 업체에만 규제 권한을 갖기 때문에 급속도로 성장하는 온라인과 스트리밍 플랫폼에서의 AI 광고는 다루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선을 앞두고 미국 정치권에서는 AI 콘텐츠가 유권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체포되는 딥페이크 이미지 등 대선 주자를 소재로 한 딥페이크 콘텐츠가 나돌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에서도 발리우드 배우들이 나렌드라 모디 총리를 비판하는 등 AI 딥페이크 동영상이 무분별하게 유포돼 몸살을 앓고 있다. 미 의회에서는 여러 상원의원이 여야를 불문하고 AI를 단속할 수 있는 법안을 발의했다.

앞서 FCC는 지난 2월 전화 마케팅에 AI를 활용한 가짜 목소리 '오디오 딥페이크' 사용을 금지했다. 당시 뉴햄프셔주 민주당 대선 후보 프라이머리(예비 선거)를 앞두고 조 바이든 대통령의 목소리를 활용한 '가짜 바이든 대통령 전화'가 선거운동에 쓰인 것이 계기가 됐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