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삼성전자, 반도체 사령탑 전격 교체…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전자 "분위기 일신해 반도체 경쟁력 강화 조치"

반도체 실적 악화 따른 경질설, 일축…경계현 스스로 물러나

노컷뉴스

삼성전자 반도체 새 수장에 전영현 부회장.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Device Solutions)부문 수장을 전격 교체했다.

삼성전자는 사령탑을 교체하며 DS부문장을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격상했는데, 주력 사업인 반도체 사업이 지난해 부진을 딛고 올해부터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팽창을 중심으로 살아나며 중대 국면을 맞는 상황 속 리더 교체를 통한 분위기 쇄신과 그에 따른 경쟁력 강화를 꾀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21일 미래사업기획단장 전영현 부회장을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DS부문장에 위촉하고 미래사업기획단장에 기존 DS부문장인 경계현 회장을 위촉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는 불확실한 글로벌 경영 환경 하에서 대내외 분위기를 일신해 반도체의 미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라고 인선 배경을 설명했다.

신임 DS부문장에 위촉된 전영현 부회장은 지난 2000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로 입사했다. DRAM/Flash개발, 전략 마케팅 업무를 거쳐 2014년부터 메모리 사업부장을 역임했다. 2017년에는 SDI로 자리를 옮겨 5년간 SDI 대표이사 역할을 수행했고, 올해부터 삼성전자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위촉돼 삼성전자와 전자관계사의 미래먹거리 발굴 역할을 수행해왔다.

경계현 사장은 2020년부터 삼성전기 대표이사를 맡아 MLCC(Multi-Layer Ceramic Capacitor·적층세라믹커패시터) 기술경쟁력을 끌어올렸고 2022년부터는 삼성전자 DS부문장으로서 반도체사업을 총괄했다. 경 회장은 이 과정에서 쌓은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먹거리 발굴을 주도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이번 인사는 살아나고 있는 반도체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앞서 삼성전자 DS부문은 올해 1분기 1조910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앞선 4분기 연속 적자를 끝내고 흑자로 전환했다. AI 반도체의 핵심 부품인 HBM 수요 급증 등에 힘입은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삼성전자는 경쟁사인 SK하이닉스보다 HBM 시장에 늦게 뛰어들어 관련 시장에서는 SK하이닉스를 뒤쫓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이유로 이번 인사와 관련해 업계 일각에서는 '경질설'도 제기되고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사업과 관련한 새로운 돌파구 마련을 위해 경 사장이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삼성전자는 미래먹거리 발굴을 주도하는 자리에서 경 사장이 또 다른 역할을 해줄 것을 주문했다는 후문이다.

삼성전자는 내년 정기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통해 전 부회장의 사내이사 및 대표이사 선임 절차를 밟을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전 부회장은 삼성전자 메모리 반도체와 배터리 사업을 글로벌 최고 수준으로 성장시킨 주역으로 그간 축적된 풍부한 경영노하우를 바탕으로 반도체 위기를 극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