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여기도 사람 사는 곳"...'피식대학'에 분 덜 풀린 영양군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오도창 영양군수는 영양 지역을 비하하는 영상을 올린 유튜브 채널 ‘피식대학’에 대해 “사과는 받았지만 상처받은 군민을 달래주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사진=유튜브 ‘피식대학’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 군수는 지난 20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여기도 사람 사는 곳이다. 이번에 영양이 갑자기 사회적 이슈의 한복판에 서 있더라. 저희는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저희 지역이 사실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마지막 남은 숨겨진 보물임에도 마치 현대문명과 비뚤어진 곳으로 알려지게 됐다”며 “아무리 코미디 프로지만 부정적 이미지로 군민의 자존심을 건드리고 지역을 비하하거나 조롱하는 내용으로 방송 소재를 다룬 것은 매우 부적절했다”면서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우리 1만6000명의 영양군민이 운명처럼 열심히 살아가는 (곳이고), 또 누군가에겐 추억과 그리움이 있는 고향”이라며 “피식대학 유튜브 방송으로 인해 상처 입은 군민들과 출향민의 자존심을 회복시켜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위기가 기회라고 생각한다. 이번 일을 계기로 제대로 힐링할 수 있는 관광명소와 볼거리, 먹거리, 즐길 거리를 SNS 등 다양한 홍보매체를 활용해서 더 열심히 알리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300만 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피식대학은 지난 11일 ‘메이드 인 경상도’ 시리즈 중 하나로 ‘경상도에서 가장 작은 도시 영양에 왔쓰유’란 제목의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이 영상에서 김민수, 이용주, 정재형 등 출연진은 영양 한 식당에 들러 “메뉴가 특색이 없다”고 말하는가 하면, 마트에서 산 특산품을 가리켜 “할머니 맛. 할머니 살을 뜯는 것 같다”라고 했다.

영양지역 하천에선 “위에서 볼 때는 예뻤는데 밑에서 보니까 똥물”이라고 말했고 버스터미널에서는 청기, 상청, 진보, 입암 등 지명을 보고 “여기 중국 아니냐”라고도 했다.

이에 대해 비판이 쏟아지며 ‘지역 비하’ 논란이 일자, 피식대학 측은 문제의 영상을 올린 지 일주일 만인 지난 18일 오후 유튜브 커뮤니티에 사과문을 올렸다.

이들은 “저희의 미숙함으로 인해 피해를 본 모든 분께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콘텐츠에서 직접 언급해 문제가 된 제과점과 백반식당에 방문해 사과를 드렸고 두 사장님이 지금은 피해가 없다고 말했지만 추후 발생할 피해가 있는지 확인하고 돕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영양군민, 영양에서 근무하고 계신 공직자, 한국전력공사 분들께 죄송하다는 말씀드린다”며 “저희의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영양군청에 연락을 드렸다. 당장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추후 어떤 형태로든 저희의 잘못을 바로잡을 방법을 찾도록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해당 영상은 비공개 처리했다.

논란 이전에 구독자 수가 318만 명이었던 피식대학은 21일 오전 304만 명으로 열흘 만에 10만 명 이상 감소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