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휴대폰 2위 자리도 흔들…"집토끼 못 지켰다" KT 가입자 또 감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통3사 휴대폰 가입 회선 증감/그래픽=김다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KT의 휴대폰 가입회선이 1년6개월째 줄어들었다. 이통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중 반등이 없는 곳은 KT가 유일하다.

2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4년도 3월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 통계에 따르면 KT의 휴대폰 가입 회선 수는 전월 대비 9521건 줄어든 1346만6816건이다. 같은 기간 SK텔레콤은 2314만3306건으로 전월 대비 1만4321건 늘었고, LG유플러스는 1094만9107건으로 1만3650건 증가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휴대폰 가입회선은 지난 2월에도 각각 2만4462건, 3574건 늘었다.

KT의 휴대폰 가입회선 수는 2022년 10월 이후 1년6개월 동안 감소세가 이어졌다. 2022년 8월 1391만4859건에서 9월 1391만8120건으로 3261건 증가한 후 한 번도 반등하지 못했다.

LG유플러스와의 휴대폰 가입회선 수 격차도 5개월 연속 좁혀졌다. 양사의 격차는 지난해 10월 258만2190건을 기록한 후 계속 줄어 올 3월 기준 251만7709건이 됐다. KT는 지난해 9월 LG유플러스에 IoT(사물인터넷) 회선 등을 포함한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회선 수에서 역전당했다.

이에 KT는 전체 이동통신 회선에서 휴대폰과 IoT 회선을 분리해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량관제·원격관제·커넥티드카·무선결제 등 IoT 회선수가 이동통신 시장의 규모를 대변하지는 않는다는 것. 과기정통부가 지난 1월부터 휴대폰과 IoT 회선을 분리해 통계를 발표하면서 KT는 다시 2위 이통사 지위를 찾았다.

그러나 휴대폰 가입회선 수도 지속적으로 줄면서 업계에서는 이 추세라면 휴대폰 회선조차 LG유플러스가 역전할 수 있다는 관측을 조심스럽게 내놓는다.

업계는 KT의 휴대폰 회선 수 감소는 집토끼, 즉 기존 가입자를 지키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휴대폰 가입은 신규가입·번호이동·기기변경 3가지 유형이 있는데 기기변경은 기존 이통사를 이용하면서 단말기만 바꾸는 경우다. KT는 2023년 7월 처음으로 LG유플러스에 기기변경 수에서 역전당했다. 당시 KT의 기기변경 가입회선은 17만2128건, LG유플러스는 17만4515건이다. 이후 지난해 9월과 11월, 올 2월에도 LG유플러스의 기기변경 가입회선 수가 KT보다 많았다.

배한님 기자 bhn25@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