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라인, 네이버에 연간 1000억 지급…글로벌 빅테크 손잡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탈네이버' 선언했지만 기술 인프라 절대적 의존

"2년 내 분리" 조치 사항 반려에 '탈네이버' 속도

"단기간 독자구축 어려워"…구글·MS와 손잡을까

[이데일리 한광범 기자] 네이버가 만든 글로벌 메신저 라인이 기술 지원 등의 명목으로 네이버에 지급하는 금액이 연간 1000억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안 등 IT인프라 상당부분을 네이버에 의존해 온 라인이 ‘탈네이버’를 위해 글로벌 빅테크와 손잡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데일리

경기 성남에 위치한 라인야후의 한국 계열사인 라인플러스. (사진=뉴스1)


2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등록된 네이버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네이버가 라인(라인야후)을 상대로 최근 3년간 기록한 매출은 연간 1000억원을 웃돌았다. 100억원을 상회하는 라인 계열사 등에 대한 매출까지 포함할 경우 금액은 더욱 커진다.

구체적으로 네이버가 라인을 상대로 올린 매출은 2021년 1107억원, 2022년 1232억원, 2023년 1025억원을 기록했다. 이중 대부분은 라인에 데이터센터, 보안 등의 인프라서비스를 제공하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매출이다. 네이버클라우드의 라인 상대 매출은 2021년 722억원, 2022년 546억원, 2023년 905억원이었다.

네이버클라우드 측은 “라인야후를 비롯한 특수관계자에게 IT인프라서비스 제공을 토대로 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계약에 의해 데이터센터, 서버, 데이터, 네트워크, 보안, CDN, 인프라 부가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IT인프라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해 대가를 지급받고 있다”고 공지했다.

“라인야후, 글로벌 빅테크와 손잡을 가능성 높아”

IT업계에선 라인이 기술 상당 부분을 네이버에 의존하고 있고, 당분간 지속할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라인이 애초에 네이버 계열사였던 만큼 ‘하나의 IT인프라’가 당연시됐고, 경영통합 이후에도 사실상 계열사로 인식돼 온 만큼 기존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지적했다.

이데일리

(그래픽=문승용 기자)


라인야후는 일본 총무성의 압박이 계속되자 네이버와의 기술제휴 종료를 서두르고 있다. 네이버 출신으로 ‘라인의 아버지’로 통하는 신중호 최고프로덕트책임자(CPO)는 지난 8일 라인야후 실적발표 기업설명회에서 “15년 전부터 코어 엔진 등은 라인이 독립적으로 해왔기 때문에 네이버와의 협업 요소는 그리 많지 않다”고 밝히기도 했다. 라인야후는 보안 강화를 위해 150억엔(한화 약 1300억원)을 투자한다.

하지만 이에 대해선 일본 내에서조차 부정적 전망이 나온다. 디지털 정책 전문가인 사토 이치로 일본 국립정보학연구소 교수는 지난 9일자 아사히신문을 통해 “라인야후가 기술 혁신을 추진하고 있지만 네이버와 기술 격차가 커 1~2년 안에 따라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IT업계에서는 결국 라인야후가 글로벌 빅테크와 손잡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야후재팬에 검색엔진을 제공하는 구글이나, 생성형 AI 관련해 소프트뱅크와 협업에 나서는 마이크로소프트(MS) 등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언급된다. 이와 관련해 한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업으로 ‘탈네이버’ 인프라 구축이 가능할 수 있겠지만 네이버처럼 비교적 저렴하게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전망했다.

네이버의 고심…라인야후 사태 논의할 국회 과방위 개최 불확실

라인야후 지분 매각 여부를 두고 소프트뱅크와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네이버는 매각 협상과 무관하게 라인야후의 ‘탈네이버’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라인야후가 이미 탈네이버를 공식화한 만큼, 매각 여부에 대한 협의와 무관하게 라인야후의 탈네이버 조치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의 라인 관련 매출은 사라지게 될 전망이다. 앞서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대표이사 사장이 ‘탈네이버’를 공식 선언한 다음 날인 9일 “기술적인 파트너로서 제공했었던 인프라 제공 등에 대해서는 분리해서 자체적으로 구축하는 방향성이 나왔기 때문에, 그 부분에서 인프라 매출 정도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정치권 일각에서는 라인야후 사태를 정치 이슈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동력을 잃은 모습이다.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해 21일 열릴 것으로 전망됐던 국회 과학기술방송통신위원회는 여야 간의 안건에 대한 이견으로 개최가 불확실해졌다. 여당은 라인야후 사태로만 의원들의 발언을 제한해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야당은 과방위 안건이 많은 만큼 의원들의 발언을 제지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