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9 (목)

이슈 부동산 이모저모

GDP 대비 123.3%까지 높아진 기업부채..."부동산·연체율에 주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BOK이슈노트: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

파이낸셜뉴스

한국은행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부동산 경기 활황, 코로나19 충격 등을 겪으며 국내 기업부채가 2023년 말 2734조원으로 2018년 이후 총 1036조원 증가했다. 이는 연평균 8.3% 늘어난 것으로 명목성장률(3.4%)를 두배 이상 넘어선 것이다. 특히 부동산 부문에서 대출 증가는 자원 배분 효율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생산적인 부문으로 흐르게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BOK이슈노트: 우리나라 기업부채 현황 및 시사점'에 따르면 국내 기업부채 레버리지(명목GDP 대비 비율)는 2017년말 92.5%에서 2023년말 122.3%로 상승했다. 주체별로는 민간기업(+919조원, 89%), 형태별로는 금융기관 대출금(+808조원, 78%), 공급기관별로는 비은행(연평균 증가율+13.1%, 은행권 +7.9%)에 의해 주도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2022년 하반기 이후에는 부동산 시장 부진, 금리 상승 등 영향으로 비은행 대출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2023년(+4.5%)에는 코로나19 이전 장기평균 수준을 하회했다.

이 같은 기업부채 증가 배경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 경기 활황으로 인해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부문 신용공급이 확대된 것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와 함께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한 개인사업자 등에 대한 금융지원 조치가 지속된 점도 국내 기업부채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실제 개인사업자대출 연가 증가 규모는 2017~2019년 평균 24조원에서 2020~2022년에는 연평균 54조원으로 급증했는데 이는 점진적으로 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 및 개인사업자를 제외한 일반기업의 경우 2020년 이후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황부진에 따른 영업자금 수요와 시설투자자금 수요가 모두 늘면서 부채 증가세가 확대됐다. 하지만 올해는 주력 산업 업황이 개선되면서 부채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에 보고서는 일반기업의 경우 주요 재무비율이 주요국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며 건전성 측면에서 대체로 안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개인사업자 부채 역시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늘어난 측면이 있다고 봤다.

류창훈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과장은 "부문별로 부채 증가 배경을 고려해 이해할 필요가 있고 리스크도 부문별로 줄여나가는 데 대응하는 데 초점을 두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통해서 기업 신용이 보다 생산적인 부문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실 우려가 높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대해서는 지난주 발표한 연착륙 방안 등을 통해 질서 있는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점진적인 디레버리징을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국내 통화정책 기조 전환 과정에서 금융기관의 신용이 부동산 부문으로 다시 집중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정책을 통해 적절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기업부채 #한국은행 #부동산PF #한계기업 #이슈노트

seung@fnnews.com 이승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