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 장기화로 현금 보유 기간↑
"투자 경험 쌓지 못해 사기에 취약"
일본 경시청이 지난해 1월부터 추적한 데이터에 의하면 올해 1분기 일본에서 투자 사기로 인한 피해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7배 증가했다. 2024년 첫 3개월 동안 1700건의 사기가 보고 됐으며 건당 평균 피해 규모는 1300만엔(약 1억1300만원)에 달했다.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기 조직은 페이스북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무료 투자 세미나를 광고해 투자자들을 끌어모은 뒤 이들의 투자 규모를 소액에서 시작해 점차 늘려나가도록 유도하는 수법을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가 확산하자 일본 정부도 대응에 나섰다. 지난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범죄자 체포에 중점을 둔 사기 대응 방안이 오는 6월 발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히라이 다쿠야 전 디지털 혁신부 장관도 인터뷰에서 "사람들의 돈을 갈취하는 온라인 광고가 성행하면서 일본 국회의원들이 메타플랫폼에 신속한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며 "메타는 사기에 맞서 싸울 더 나은 방법을 찾을 때까지 일본에서 모든 페이스북 광고를 중단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전형적인 투자사기가 횡행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일본의 주식 투자 열풍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3월 발표된 일본은행(BOJ) 조사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일본 가계의 주식 투자 규모는 연간 29.2% 늘어난 반면 현금 저축은 1% 증가에 그쳤다. 같은 달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지수는 사상 처음으로 4만대를 돌파했다.
일본의 미흡한 투자 교육 환경을 패착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스즈키 마유코 오사카교대 소비자교육학 교수는 "전통적으로 일본 학교는 부를 쌓거나 투자하는 방법 대신 저축과 지출에 중점을 두고 가르친다"며 "어떤 주식도 지속적인 수익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사람들이 이해한다면 이토록 사기를 많이 당하진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블룸버그는 "그동안 일본 소비자들은 현금을 쌓아 두는 것으로 디플레이션에 대응해온 탓에 세계적인 투자 사기 피해 확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면서도 "그러나 지난해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고, 증시도 사상 첫 4만대에 입성하는 등 호황을 누리자 미숙한 투자자들이 증시에 대거 편입돼 사기가 성행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고 분석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