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쓰레기도 배송”…알리에서 주문하자 6개월간 택배 폭탄 악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탕웨이(왼쪽)와 마동석이 광고 모델인 알리익스프레스. 알리익스프레스 SNS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의 한 가정집에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중국에서 계속 배달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부산 남부경찰서는 16일 주민 A씨로부터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계속 배달된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의 집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중국 e커머스 업체인 알리익스프레스를 통해 주문하지 않은 물품이 50여 차례 배송됐다. 여성용 원피스는 물론 빈 택배 봉투나 자투리 천 조각 같은 쓰레기가 든 것도 있었다.

A씨의 이름과 연락처가 적힌 택배가 집 근처 초등학교나 관공서 등으로 배송되는 일도 벌어졌다. A씨는 이런 일이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물건을 구매한 뒤부터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수상한 택배 때문에 알리익스프레스 한국 고객센터에 전화해 반품과 대책 마련을 요구했지만 “본사가 아니라 결정 권한이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A씨는 혹시 유해 물질이 들어있는 건 아닌지, 범죄에 연루되는 건 아닌지 겁이 나는 상황이라 경찰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부산 남부경찰서는 알리익스프레스 중국 본사를 상대로 상황을 파악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는 입건 전 조사 단계로 알리익스프레스 고객센터를 상태로 주문자 정보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밝혔다.

인터넷상에는 A씨의 사례처럼 알리익스프레스를 이용한 뒤 주문하지 않은 택배가 배송됐다는 글이 잇따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온라인 쇼핑몰 판매자가 물건을 구매하지 않은 불특정 다수에게 택배를 발송해 판매 실적을 부풀리는 ‘브러싱 스캠’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온다. 지난해 7월에도 해외발 소포가 무차별적으로 전국에 배송돼 시민을 놀라게 한 사건이 있어 경찰은 브러싱 스캠으로 결론을 내고 중국 공안에 수사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

저가 공세를 앞세워 알리익스프레스 국내 이용자는 800만명이 넘어설 만큼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그만큼 소비자 피해 사례도 늘어나고 있다. 1년 사이 3배 늘어났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를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하기도 했다. 이 단체는 고발장을 통해 알리가 중국의 상품 판매처 18만 8000여곳에 이용자 계좌와 전화번호, 주소 등 개인정보를 제공하면서 판매자들이 어떤 방법으로 개인정보를 관리하고 있는지 전혀 공개하지 않아 개인정보 침해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