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사과를 ‘드리고 있다’의 역설 [말글살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9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취임 2주년을 맞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 두 장면을 떠올려보자. ‘길에 돈이 떨어져 있다’. 그리고 ‘돈이 떨어지고 있다’. 차이가 느껴지는지?



‘돈이 떨어져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건 인간의 엄청난 추론 능력 때문이다. 저 말을 하는 사람이 실제로 돈이 길에 떨어지는 장면을 봤을까? 못 봤다. 본 건 길 위의 돈뿐. 그 돈을 보고 그전에 누군가의 주머니에서 돈이 떨어졌겠거니 추론한다. 못 본 걸 말하다니 놀랍다. 그에 비해 ‘떨어지고 있다’는 주머니에서 돈 떨어지는 장면을 보면서 하는 말이니 달리 해석할 게 없다. 시시하다. ‘밥 먹고 있다’ ‘설거지하고 있다’도 마찬가지다. 눈앞에서 그 일이 일어나면 쓸 수 있다.



그런데 우리의 대통령은 이 시시한 표현에 새로운 숨을 후 불어넣었다. “제 아내의 현명하지 못한 처신으로 국민께 걱정 끼쳐드린 부분에 대해서 사과를 드리고 있습니다.” 그가 속한 결사체가 ‘주어 없는 문장’을 즐겨 쓰니, 그건 넘어가자. ‘사과를 드리고 있다’는 말은 시시했던 ‘-고 있다’를 깨어나게 한다.



이를테면, 언제부터 ‘밥을 먹고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첫 숟가락이 입에 들어갈 때? 그 밥을 입안에서 씹을 때? 목구멍으로 넘길 때? 아니면 처음 숟가락을 들 때? 그도 아니면 밥상머리에 앉을 때? 그렇다면 ‘아직 먹지 않았지만 먹고 있다’는 놀라운 역설이 성립한다!



그는 사과를 한 적이 없다. 사과하는 걸 못 봤는데 ‘사과를 드리고 있다’고 하니 역시 그는 시시한 사람이 아니다. 새로운 사과법을 개발한 ‘크리에이티브’다. ‘아직 사과하지 않았지만 사과하고 있다’는 역설! 울분을 가라앉히고 내키지 않는 마음을 다잡고 컬컬한 목소리를 가다듬는 그 순간도 사과의 표명이다! 그것이 양심의 가책에서 출발한 건 아니겠지만.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한겨레 서포터즈 벗 3주년 굿즈이벤트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