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44주년③] '5·18 주남마을 학살' 유일 생존자 홍금숙 "주남마을 학살, 두 번 있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그날 진실 밝혀야 할 5⋅18진상조사위...오히려 내 기억이 틀렸다 말해"

더팩트

주남마을 학살 사건은 한 번이 아니고 두 번 있었다는 주요 증거로 당시 계엄군이었던 최병문 씨가 기억하고 있던 여학생은 손에 관통상을 입은 반면, 홍금숙 씨는 팔과 오른손 가운데 손가락에 미세 총알 파편이 튀어 부상을 입었다. 사진은 당시 파편으로 오른쪽 중지가 완전히 구부러지지 않는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홍금숙 씨. / 광주 = 나윤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총칼 앞에서도 '죽음의 행진'을 마다하지 않았던 5월 광주의 정신은 무엇인가? 휴머니즘의 정수인 똘레랑스의 가치를 평생에 걸쳐 설파하며 살아왔던 인문주의자 고(故) 홍세화 작가는 이렇게 답했다. 사람이니까. 5‧18민주화운동 44주기를 맞아 <더팩트>가 5월의 기억을 여전히 부둥켜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의 얘기를 찾아 나섰다. 1980년 그날, 광주의 5월은 그랬었고, 또 앞으로도 여전히 숭고한 이들이 피를 바친 희생의 제단 위에서 살아갈 것이기 때문이다. [편집자주]

[더팩트 l 광주=나윤상 기자] 2021년 KBS 광주총국은 5⋅18 특집방송으로 '나는 계엄군이었다'를 방영했다. 이 방송에는 1980년 당시 11공수여단 소속 계엄군으로 광주에 왔었던 최병문 씨가 출연했다.

최 씨는 1980년 5월 23일에 주남마을에 주둔해 있었던 계엄군 중 한 명이었다.

최 씨의 증언에 따르면 5월 23일 오전 계엄군이 마이크로 버스에 총을 쐈고 생존자 확인을 위해 버스에 올라갔는데 17명에서 18명이 죽어있었다. 그 중 유일한 생존자는 앳된 얼굴에 어린 여학생이었다.

최 씨는 이 여학생을 주둔지로 데리고 갔다. 최 씨가 데려온 여학생을 보고 부대원들 사이에선 "쏴 죽이지 않고 왜 데리고 내려왔나"는 볼멘소리가 나왔다.

최 씨의 이런 증언은 주남마을 학살 유일한 생존자 홍금숙 씨와 말과 많은 부분이 일치한다.

하지만 최 씨의 증언과 홍 씨의 말이 결정적으로 나뉘게 되는 부분이 존재한다. 바로 시간이다. 최 씨는 본인이 관계됐던 주남마을 사건의 시간대를 오전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하지만 홍 씨는 오후였다고 주장했다.

또 최 씨는 그 당시 여학생의 머리 형태를 어깨까지 내려온 단발머리로 기억하고 옷차림을 하늘색 트레이닝복으로 특정하고 있는데 반해 당시 홍 씨는 청바지에 체크무늬 셔츠 차림이었다고 말했다.

결정적으로 다른 부분이 하나 더 있다. 당시 최 씨의 소속 부대원들이 부상자인 남자 2명을 주둔지로 데려와 죽이고 암매장했는데, 당시 그 소녀는 이 두 남자들을 알고 있었지만, 홍 씨는 두 남자를 전혀 모르는 사이라고 증언했다.

더팩트

주남마을에는 당시 계엄군이 시민을 죽이고 암매장한 장소에 위령비가 서 있다. 사진은 주남마을 위령비 모습. / 광주 = 나윤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재 주남마을 안쪽으로 들어가면 공수부대 주둔지 앞에 암매장 장소가 있고 그곳에 위령비가 세워져 있다.

'나는 계엄군이었다' 방송이 나간 후 주남마을 학살 유일한 생존자 홍금숙 씨에게 모르는 전화번호로 전화가 왔다. 전화를 건 사람은 자신을 당시 주남마을에 주둔하고 있었던 계엄군이라고 소개하며 그녀를 향해 비난을 퍼부었다.

홍 씨는 "나모 씨라는 사람이 자신이 당시 계엄군이었다며 처음부터 욕을 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왜 나에게 그렇게 대하는지 어리둥절했는데 이야기를 듣다보니 당시 자신이 붙잡혀 온 여학생에게 상처도 치료해주고 붕대를 감아줬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 여학생이 당신인데 방송에서는 왜 거짓말을 하느냐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홍 씨는 "나 씨에게 그 여학생에게 어떻게 했었는지 자세하게 물어봤다. 그는 주둔지로 끌려온 여학생의 한 쪽 손이 총알로 관통되어 구멍이 나서 지혈을 해주고 흰 붕대도 감아줬다고 했다. 군인들이 끓인 라면도 같이 먹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부분도 그녀의 기억과 다른 내용이다. 마이크로 버스가 총격을 받을 때 그녀는 버스 바닥에서 머리를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해 두 팔과 손으로 최대한 얼굴과 머리 부분을 감싸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수많은 미세 총알 파편이 그녀의 팔과 손에 박혔다. 손에 관통상은 없었다.

그녀는 현재까지도 이 상처로 인해 고통을 당하고 있다. 너무 미세한 파편들이 피부를 뚫고 혈액으로 파고 들었기 때문이다.

홍 씨는 "의사가 말하기를 나중에 혹시 혈액투석을 해야될 상항이 오더라도 이 부분 때문에 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했다"며 "파편이 팔뿐만 아니라 손가락에도 박혀 오른손 중지는 제대로 구부려 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 씨와 홍 씨의 증언을 종합해 보면 주남마을 마이크로 버스 학살 사건은 5⋅18진상조사위가 발표한 것과 다르게 1건이 아닌 2건이 존재할 수 있다.

더팩트

당시 주남마을에 주둔 중이었던 최병문 씨의 중언을 토대로 하면 주남마을에서 약 1.5km 정도 떨어진 소태동 쪽에서 오전 마이크로 버스 학살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 아래쪽이 주남마을, 위쪽 방면이 소태동./ 네이버 지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 씨 부대는 오전에 주남마을에서 약 1.5km 떨어진 소태동에 매복해 있으면서 마이크로 버스가 오자 정지 명령을 내린 뒤 집단 총격을 가했고, 이에 남성 2명과 여학생 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는데 부대원들이 주남마을 주둔지로 데려와 남성 2명은 죽여 암매장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날 오후 공교롭게도 마이크로 버스 1대가 소태동에서 주남마을로 다가서는데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매복해 있던 공수부대가 정지 명령을 내리고 집단 총격을 한 후에 부상자인 남성 2명과 여학생 1명을 주둔지로 끌고갔다. 차이가 있다면 홍 씨가 탄 버스에는 무전기가 있었다는 점일 수 있다.

홍 씨는 자신이 살아남을 수 있는 배경에 무전기를 꼽았다. 홍 씨는 "마이크로 버스에 무전기로 교신하고 있는 한 아저씨가 있었는데 공수부대에서는 그 무전기로 무슨 말이 오갔는지를 매우 궁금했던 것 같았다. 주둔지에서 헬리콥터를 타고 밤중에 끌려간 곳이 나중에 알고 보니 광산경찰서였는데 100일 동안 수사관들이 그 부분만 집중적으로 질문했다"고 회상했다.

그녀의 기록에는 광산경찰서에서 41일간 있다가 훈방조치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100일이 넘은 것으로 그녀는 기억했다.

홍 씨는 "무전기가 아니었다면 그때 다른 사람과 같이 죽었을 것이다. 그들이 어린 여학생이라고 살려줄 사람들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무전기로 무슨 이야기가 오고 갔는지를 애타게 찾는 것 같았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조사를 받을 때 실제 전두환과 노태우도 만났다고 증언했다. 홍 씨는 "그날도 똑같이 조사를 받으러 가는데 장소가 평소와 달랐다. 거기서 만났던 사람은 매우 높은 계급처럼 행동했는데 한 명은 일반 군복과 모자를 썼고 나중에 온 사람은 얼룩무늬 군복에 베레모를 썼다. 광산서 유치장에 돌아와 저녁 뉴스를 보는데 조사실에서 봤던 사람이 나와 신기해서 옆 사람에게 '저 사람들 오늘 만났다'고 했더니 전두환과 노태우라고 말해줘서 놀랐다"고 말했다.

더팩트

사진은 청문회 당시 홍금숙 씨 모습. / 홍금숙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학살 현장에서 유일한 생존자라고 1988년 5⋅18청문회에도 나왔지만 그녀에게는 씻을 수 없는 기억과 상처가 이미 온몸에 파고 들다.

44년이 지난 지금까지 그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오직 '진실'뿐이었다. 조사위는 그녀의 시간인 '오후'를 인정하지 않았다. 큰 충격으로 인해 시간대를 착각한 것이라고 본 것이다. 그녀는 이 부분을 아직도 억울해하고 있다.

홍 씨는 "많은 증언들이 나오고 있는데 조사위는 더 조사를 하지 않았다. 오로지 내 기억이 왜곡되었다고만 해서 화병이 났다. 내가 너무 억울해하니까 조사위에서 '홍금숙 씨는 주남마을 학살사건을 오전이라고 주장한다'는 글 한 줄 넣어주겠다고 해서 너무 속상했다"고 말했다.

그녀의 진실을 향한 여정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그 길이 너무 요원해 보이는 것은 결코 흘러간 세월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5‧18민주화운동이 어느덧 44년이 흘렀다. 누군가는 또 5⋅18이냐고 말하고 누군가는 이제 그만했으면 되지 않았느냐고 말한다. 하지만 그날의 진실은 아직도 묘연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이 왜곡되고 변형되기도 한다지만 그날 참혹한 시간과 장소에 있었던 증인들은 아직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진실'에 목메어 하루하루를 살고 있다. 실체적 진실을 감추려는 사람들은 아직도 진실을 드러내기 두려워한다.

진실을 위해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지난 4년간 조사해 올해 초 조사보고서를 발간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조사의 적격성에 의문이 제시되고 있다. 그래서 5⋅18은 과거의 역사가 아닌 현재의 역사이고 끊임없이 이야기하고 연구해야 할 숙제인 것이다.

kncfe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