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이슈 하마스·이스라엘 무력충돌

하마스 "휴전협상 원점으로"…美 "접점 찾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하마스 "점령군이 휴전안 거부"

美 "이스라엘 대규모 작전 징후는 없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 전쟁을 끝내기 위한 휴전 협상이 원점으로 되돌아갔다고 밝혔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0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하마스 고위 관리인 칼릴 알-하이야는 알아라비TV를 통해 "점령군(이스라엘)이 중재국의 휴전안을 거부하면서 협상이 원점으로 돌아갔다"며 "중재국의 제안에 등을 돌린 것은 하마스가 아닌 점령군(이스라엘)"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재안을 거부하고 라파에 대한 공격을 지속하겠다며 검문소를 장악한 네타냐후 총리의 행동을 고려해 팔레스타인 다른 정파 지도자들과 협상 전략을 재검토하기 위한 협의회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중재국인 미국과 이집트, 카타르 등은 이집트 카이로에서 지난 7일부터 가자지구 휴전 협상을 이어왔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앞서 하마스는 지난 6일 중재국이 마련한 휴전안을 받아들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여기에는 이른바 '지속 가능한 평온에 도달하기 위한 노력'이라는 문구가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마스는 이를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로 해석한 반면, 이스라엘은 종전과 철군 요구로 보고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미국은 양측의 입장차를 좁히기 위해 중재 노력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은 휴전 회담이 중단된 것과 관련해 "매우 유감스럽다"며 미국은 접점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밝혔다.

커비 보좌관은 라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며 아직 이스라엘의 대규모 작전 징후는 없다고 했다. 커비 보좌관은 "분명히 우려를 갖고 지켜보고 있다"며 "지난 24시간 내에는 아직 대규모 지상전의 징후는 없었고, 국경검문소 주변에서 국지전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스라엘이 라파 지상전을 강행할 경우 무기 지원을 끊겠다고 경고한 상태다. 라파에는 피란민 등 140만명이 몰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스라엘이 라파 검문소를 장악하면서 인도주의적 구호 물품의 반입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 구호단체들은 구호 물품이 수일 내에 바닥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커비 보좌관도 인도주의적 지원을 위해 검문소를 즉각 개방해야한다고 이스라엘에 촉구했다.

한진주 기자 truepear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