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6 (화)

이슈 연금과 보험

은행·보험권, PF 수요 따라 '공동대출' 자금 조성…캐피털콜로 운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금융당국, PF 정상화 방안 내주 발표

신디케이트론, 캐피탈콜 방식으로 운영 검토

[이데일리 송주오 기자] 은행과 보험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상화를 위해 시장 수요가 있을 때마다 자금을 대는 방식을 택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이른바 ‘캐피탈콜(한도 내에서 자금 수요가 있을 때보다 돈을 투입하는 것)’ 방식을 적용해 금융사 부담은 줄이고 시장 상황에 적극 대처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데일리

서울 시내의 재건축 공사 단지 모습.(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다음 주 초 발표할 PF 정상화 방안에 은행·보험권 신디케이트론(공동대출) 규모와 운영 방식 등을 담을 전망이다. 신디케이트론을 캐피탈콜 방식으로 운영해 은행과 보험권의 자금부담을 낮추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은행·보험권으로서는 한꺼번에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부담을 덜 수 있고, 금융당국으로서도 자금이 필요할 경우 빠르게 자금을 끌어올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신디케이트론 규모가 조 단위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사들이 취급한 부동산PF 대출이 작년 말 기준 136조원이다. 이 가운데 2금융권 브리지론 규모는 30조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경·공매를 통해 부실 사업장의 토지 가격을 낮춘 뒤 은행·보험권의 신규 자금을 유도해 사업을 재구조화하는 방안을 핵심적으로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1조 원대의 캠코 PF 정상화 펀드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PF 사업장을 넘기는 매도자 측에 ‘우선매수권’을 부여함으로써 사업장 매각 및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금융당국은 PF 정상화 방안 발표를 앞두고 막바지 세부 조율 과정을 거치고 있다. 금융위는 전날 5대 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업권과 건설업계 관계자들을 불러 비공개회의를 열고 시장 의견을 최종적으로 수렴했다. 이 자리에서 신디케이트론 운영 방식과 자금 집행 시 주어지는 인센티브 등에 대한 질의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PF 시장의 질서있는 정리가 조속히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열린 금융감독자문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우리 경제의 큰 불안 요소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 사업성 평가 기준 개편, 대주단 협약 개정을 통해 사업장 정리 등 재구조화 속도를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PF 시장 구조조정의 축소판으로 통하는 태영건설 관련 사업장들은 최근 경·공매 절차에 돌입하고 있다. 특히 서울 반포 부동산 PF 사업장도 경·공매 절차를 밟게 됐다. 이 사업장은 본 PF로 넘어간 상황인 데다 입지가 좋아 완공 시 사업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으나, 선순위 채권자인 과학기술인공제회가 채권 회수를 결정하면서 공매 절차를 밟게 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