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0 (목)

이슈 제 22대 총선

한동훈 전대 출마설 직격…이철규 “선거결과 책임감에 욕망 접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철규 의원.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친윤 핵심인 이철규 국민의힘 의원이 8일 “공천관리위원으로서 선거에서 우리가 졌으니까 책임감을 느꼈다”며 자신의 원내대표 불출마 이유를 밝혔다. 7월 말에서 8월 초께로 예상되는 전당대회 출마설이 도는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을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의원은 이날 에스비에스(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에 원내대표를 안 하겠다는 결심을 가진 근저에는 저도 10명 중의 한명의 공관위원으로서 공천에 대해, 선거결과에 우리가 졌으니까 구성원으로서 책임감을 느꼈다”며 “그것이 상당 부분 제가 당과 국민을 위해 조금 더 큰 정치적 기여를 하고 싶은 욕망을 접은 것이다”고 말했다. 지난 총선에서 공관위원이자 인재영입위원장으로서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원내대표 출마를 접은 만큼,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도 전당대회에 출마할 명분이 없다는 것을 부각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친윤 핵심인 이 의원은 유력한 원내대표 후보였으나 총선 패배 책임론이 일며, 오는 9일 치러지는 원내대표 선거 후보에 등록하지 않았다.



이 의원은 인터뷰에서 총선 패배는 “한동훈 한 사람의 책임이라고 주장하지 않았다”면서도 “당은 후보의 공천에서부터 시작해서 선거의 캠페인은 당이 주도한 것이다. 선거는 당이 치른 것이지, 대통령이 치른 것이 아니다”고 한 전 위원장을 직격했다. 그는 “선거캠페인, 선대위 구성에서도 부족함이 있었다”며 “이종섭 전 호주대사 임명과 황상무 전 시민사회수석의 실언 이런 것들이 선거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잘 극복하지 못한 것도 어찌 보면 당의 문제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윤재옥 원내대표는 이날 퇴임 기자간담회에서 ”6말, 7초쯤 조기에 당 지도체제를 정비하고 혁신하자는 총의가 모아졌다. 그렇지 않으면 다른 혼란이 생길 수 있다”며 전날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말한 전당대회 최소 1달 연기론을 반박했다.



손현수 선담은 기자 boysoo@hani.co.kr



▶▶한겨레 서포터즈 벗 3주년 굿즈이벤트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