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가정의 달 심상치않은 물가 오름세 "외식하기 겁나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외식 수요가 몰리는 5월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가격을 연달아 인상하고 있어 식비 부담이 한층 커질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는 2일부터 16개 메뉴의 가격을 평균 2.8% 올린다. 이에 따라 버거는 300원 올라 3100원에서 3400원, 에그불고기버거는 400원 올라 3500원에서 3900원이 된다. 이외에 햄버거·치즈버거·더블치즈버거 등이 100원씩 오른다.

맥도날드는 이미 지난해 가격 인상을 두 차례 단행한 바 있다. 지난해 2월 일부 메뉴 가격을 약 5.4%, 같은해 11월 13개 메뉴 가격을 평균 3.7% 올렸다. 맥도날드 측은 "원부자재 가격, 물류비 등 제반 비용의 상승 등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조정했지만 고객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가격 인상 품목과 인상 폭을 최소화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날 피자헛도 일부 메뉴 가격을 올린다. '갈릭버터쉬림프'와 '치즈킹'; 등 프리미엄 메뉴가 해당되며 구체적인 가격 인상 폭은 정해지지 않았다. 제품 품질 만족도 향상을 위해 인상하는 것이며 인상 가격은 피자헛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한다. 지난해 6월 가격을 올린 뒤 1년도 되지 않은 시점에 또다시 가격을 인상한다는 소식에 소비자들의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주부 A(38)씨는 "어린이날을 앞두고 일제히 가격을 올린 것 아니냐"며 "매년 가격이 오르니까 소비자 입장에서는 한번 외식하기가 겁이 난다"고 말했다.

김밥 가격도 뛰었다. 김가네김밥은 지난 3월 메뉴가를 500~1000원씩 올렸다.

대표메뉴인 '김가네김밥'은 3900원에서 4500원으로 600원 인상됐다. 참치김밥도 4900원에서 5500원으로 600원 올랐다. 와사비 크래미 김밥은 5300원에서 6000원으로 700원 인상됐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바르다김선생은 지난달 메뉴 가격을 100~500원 인상했다. 대표 메뉴인 바른김밥 가격이 4300원에서 4500원으로 올랐다.

저렴한 가격을 표방하는 프랜차이즈들도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했다.

고피자는 지난달 피자 단품 가격을 일제히 1000원씩 인상했다. 대표적으로 페퍼로니 피자가 9900원에서 1만900원으로 10.1% 인상됐다. 베이컨 포테이토 피자도 1만700원에서 1만1700원으로 9.3% 올랐다.

노브랜드버거는 지난 2월 버거, 사이드 메뉴 등 30여종의 가격을 평균 3.1% 상향 조정했다. 대표 메뉴인 NBB 시그니처의 단품 가격을 4400원에서 4800원으로 올리는 등 메뉴당 100~400원 상향 조정하되 인기 메뉴인 메가바이트 등 4종의 가격은 이전과 동일하게 유지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원재료와 물류 비용 등 제반 비용이 올랐지만, 업체가 비용 부담을 감내하고 있었다"며 "기업들이 총선 이후 억눌러왔던 가격 인상 카드를 빼든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총선 전 정부의 시장 개입에 다수의 전문가들은 '당장 가격 인상을 하지 않더라도 추후에 도미노 가격 인상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며 부작용을 예고한 바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젊은층은 배달 주문부터 줄이는 모습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음식 서비스(배달 음식) 온라인 거래액은 전년 대비 약 1600억원 감소했다. 이 금액이 줄어든 것은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이다. 점심은 회사 내 구내식당을 이용해 최대한 지출을 줄이고 있다. 마트 오픈런이 아닌 '마감런'이라는 신조어도 생겨났다. 마트 델리 코너 마감 시간 할인을 노려 구매하는 이들이 급증한 것.

한편,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달부터 공정위 홈페이지에 '민생 밀접분야 불공정행위 신고센터'를 운영한다. 국제유가 등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고물가 상황에 편승해 판매가격을 부당하게 올리거나 담합에 나서는 행위를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신고 대상은 민생 밀접품목의 담합행위나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등의 재판매가격 유지행위다. 담합행위의 경우 신고를 통해 법 위반이 인정되면 증거나 조치 수준 등에 따라 신고인에게 최대 30억원의 신고포상금이 지급된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