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7 (목)

속초 명물 ‘갯배’ 이용객 감소, 5월부터 시가 운영 맡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실향민이 모여 사는 강원 속초 아바이마을과 속초관광수산시장을 연결하는 갯배. 박진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원 속초시의 명물 ‘갯배(청호도선)’의 운영권이 다음 달부터 민간에서 속초시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된다.

속초시는 최근 속초시의회에 “민간단체에 있던 갯배 운영권을 5월 1일 자로 반환, 앞으로 속초시시설관리공단이 위탁 운영할 것”이라고 보고했다. 위탁 기간은 5년으로 위탁 시설은 갯배 2척, 사무실 1곳, 비 가림 시설 등이다. 위탁 내용은 갯배 관리·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이다.

속초시 관계자는 “그동안 청호동 주민으로 구성된 단체가 갯배를 위탁 운영해 왔는데 이용객 수 감소로 어려움이 많았다”며 “안전성 확보 등 시설을 개선한 뒤 운영을 이어갈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속초시 등에 따르면 갯배 이용객 수는 2022년 93만4911명에서 지난해는 81만6185명으로 11만8726명(12.7%·유료 9만4947명) 감소했다. 이용료 수익 역시 2022년 3억1375만3807원에서 지난해 2억7807만6797원으로 3565만6434원(11.37%)이 줄었다. 이런 이유로 민간단체는 지난 1월 속초시에 갯배 위탁관리 계약 해지를 요구했고, 시가 이를 수용하면서 시설관리공단 운영이 결정됐다.

지난 1월 민간단체에서 갯배 위탁관리 계약 해지를 요구했을 당시 주변에선 “이러다 갯배가 완전히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됐다. 속초시민은 물론 속초를 찾은 관광객들이 갯배 관련 추억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갯배는 한국전쟁 당시 청호동 ‘아바이마을’에 정착한 실향민들이 시내를 왕래하기 위해 만든 이동수단이다. 아바이마을은 속초에 있는 석호인 청초호로 인해 시내와 단절된 마을이었다.

2012년 청호동과 장사동을 연결하는 설악대교와 금강대교가 개통되면서 교통수단보다는 관광객을 실어나르는 관광자원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주변 여건의 변화로 수로 폭도 100여m에서 60여m로 축소됐다.

갯배는 승선원이 아닌 승객들의 힘으로 운행하는 국내 유일의 무동력선이다. 수로에 쇠줄을 설치하고 갈고리로 끌어당겨 배를 움직이는 방식이다.

지난 1월부터는 이용객이 직접 이용료를 결제하는 키오스크 결제 방식이 도입됐다. 갯배 이용요금은 편도 대인 500원, 소인(초등학생) 300원, 속초시민은 무료다. 결제는 카드만 가능하다.

아바이마을은 함경도 출신 실향민 집단촌으로 한국 현대사의 아픔이 존재하는 곳이다. 한국전쟁 발발 이듬해인 1951년 1·4 후퇴 당시 함경도 주민 일부가 퇴각하는 국군을 따라 이곳에 도착했다. 이들이 속초 청호동을 선택한 건 고향과 가까워 빨리 돌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당시 실향민들은 통일이 돼 고향으로 돌아갈 날을 기다렸지만 꿈은 이뤄지지 않았다. 7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르면서 마을을 조성했던 1세대 실향민들은 대부분 세상을 떠났고 후손들이 마을을 지키고 있다. 이곳은 드라마 가을동화 촬영지로도 유명했던 마을로 함흥냉면과 오징어순대, 순대국밥, 가자미식해 등 곳곳에 맛집이 많다.

속초시시설공단 동창희 경영지원팀장은 “갯배 내부와 승하차장에 미끄럼 방지시설과 세이프가드, 투영 LED 난간 등 안전시설을 설치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계획”이라며 “시민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홍보 방안과 만족도 향상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호 기자 park.jinho@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