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4 (화)

[단독] "국내 생수서 1ℓ당 20㎛ 이상 미세플라스틱 1.3개 검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서울 한 대형마트의 생수 매대. 기사와 관련 없음.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먹는 샘물’ 제품에서 1ℓ(리터)당 직경 20㎛(마이크로미터) 이상인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 평균 1.32개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생수 속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우려가 제기돼 온 가운데, 정부 기관이 모니터링 결괏값을 공식 산출한 것은 처음이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은 2022~2023년에 국내 생수 30여개 제품을 모니터링해 분석한 결과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5일 밝혔다. 검출률은 88.1%, 주로 검출된 플라스틱 종류는 PET(페트), PP(폴리프로필렌), PE(폴리에틸렌)이었다. 미세플라스틱은 직경 1㎛~5㎜(5000㎛) 크기의 플라스틱 입자를 의미한다. 20㎛은 머리카락 굵기(100㎛)의 5분의 1 정도다.

중앙일보

미세플라스틱은 5㎜보다 작은 플라스틱 조각이다. 그중에서도 나노플라스틱은 1㎛보다 작은 크기의 플라스틱이다. 사진 UNE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ℓ당 1.32개의 검출량은 우리나라 연안 표층의 바닷물 조사 결과보다 약간 적은 값이다. 국립수산과학원이 2020~2022년 한반도 연안 15개 권역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해역 표층에서 20㎛ 이상 미세플라스틱이 리터 당 1.82개꼴로 발견됐다. 이는 해양 생물들에게 위험하지 않을 것으로 간주하는 미세플라스틱 농도 상한값의 3분의 2 수준이라고 한다.

앞서 식음료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생수보다 더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2022년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내 유통 과일 음료에서 ℓ당 직경 20㎛ 이상인 미세플라스틱이 40개, 맥주는 10개가 검출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해조류나 티백, 젓갈에서는 수천 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됐다.

중앙일보

정근영 디자이너





“문제는 더 작은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



생수 시장은 먹는물관리법이 제정돼 생수 판매가 본격적으로 시작한 1995년 727억 원 규모에서 지난해 2조 3000억 원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2021년 조사에서는 물을 마실 때 생수를 구매해 마신다는 비율이 32.9%를 차지했다.

문제는 이번 생수 조사가 20㎛ 미만인 미세플라스틱과 이보다 더 작은 나노플라스틱(직경 1㎛ 미만)을 포함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안윤주 건국대 환경보건과학과 교수는 “현재 문제 제기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은 20㎛보다 작은 단위이기 때문에, 먹는 샘물 조사 결과 수치가 작더라도 실태 파악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올해 초, 미국 컬럼피아대 연구팀은 생수 1ℓ에 약 24만 개의 나노플라스틱이 들어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 국립과학학회보(PNSA)에 게재했다.

아직 미세플라스틱과 나노플라스틱의 인체 유해성은 완전히 입증되지 않았다. 다만, 학계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심장과 뇌를 포함한 장기로 이동할 수 있고, 태아에게도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축적이 계속될수록 유해하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올해 3월에는 경동맥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견된 환자가 심근경색, 뇌졸중 등으로 사망할 위험이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최대 4.53배 높았다는 연구 결과(이탈리아 캄파니아 의대)가 발표되기도 했다.



미세플라스틱 분석 표준화 시작…“내년에는 1㎛까지 분석”



중앙일보

종류별 미세플라스틱 모습. 순서대로 PE(폴리에틸렌), PS(폴리스티렌), PMMA(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연구 결과가 국내에서 미세플라스틱 분석법을 표준화한 뒤 처음으로 나온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아직 국제 표준분석법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 연구나 관리에 한계가 있었다”며 “내년에는 1㎛까지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들여와 분석 방법 표준화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표준분석법은 내년 말께 국제표준화기구(ISO)가 공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현재 ISO의 분석법 개발 현황을 토대로, 당장 국내에서 통용할 수 있고 향후 발표될 국제 표준에도 근접한 분석법을 5일 민관이 참여하는 ‘먹는샘물 관리 선진화 토론회’에서 발표할 계획이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