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2 (목)

이슈 미국 46대 대통령 바이든

바이든 '철강 관세 3배' 예고에도 미 국채 팔아치운 중국, 대체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국, 미 국채 보유 규모 15년 만에 최저… 채권가격 하락에 리스크 회피

머니투데이

/사진=블룸버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지난 2월에만 미 국채를 227억달러어치(약 31조원) 매도해 보유 중인 미 국채 규모가 15년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중국 철강 관세를 3배 올리겠다고 해 미-중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중국의 미 국채 매도 행렬에 관심이 모아진다.

18일 미국 재무부가 발표한 국제자본데이터(TIC)에 따르면, 2월 중국이 보유 중인 미 국채 규모는 전월 대비 227억달러 감소한 7750억달러를 기록했다. 2009년 이래 최저 수준이다.

머니투데이

2월 세계 각 국의 미 국채 증감 현황/그래픽=이지혜


반면 일본, 프랑스, 영국의 미 국채 보유규모는 각각 전월 대비 164억달러, 154억달러, 96억달러 늘었다. 특히 일본의 미 국채 보유규모는 2022년 8월 이후 최고치인 1조1679억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17일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국 피츠버그의 철강노조(USW) 노동자들 앞에서 중국 정부와 중국 철강회사가 보조금을 이용한 '불공정 경쟁'을 하고 있다며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3배로 올릴 것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이처럼 미중 긴장 국면이 지속되는 와중에 중국의 미 국채 보유 규모가 축소된 사실이 알려지자 중국 내에서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중국 21세기경제보도는 미국 월가의 헤지펀드 매니저를 인용해, 각 국의 미 국채 거래전략이 다른 이유는 나라별 통화정책과 준비자산의 안전성에 대한 요구가 상이한 점과 관계가 깊다고 짚었다.

일본은 통화정책 긴축기에 진입했지만, 일본 중앙은행이 추가 금리 인상을 망설이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연기 기대가 맞물리며 엔-달러 스프레드(금리차)가 현재의 높은 수준을 장기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무위험 스프레드를 노린 일본 자금이 미국 국채를 사고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중국 금융업계 인사는 2월 중국이 미 국채 보유규모를 대폭 줄인 것이 미국의 통화정책과 연관이 깊다고 분석했다. 시장이 미 연준의 빠른 금리 인하를 기대할 때인 작년 11월과 12월 중국은 2개월 연속 미 국채를 늘렸다. 하지만,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춰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 국채 가격이 하락하자 중국이 미 국채 매도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앞서 언급한 월가의 헤지펀드 매니저는 "미국의 높은 물가수준과 견조한 고용시장 영향으로 시장이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늦춰질 것으로 보면서 미 국채 수익률이 상승(국채 가격 하락)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은 일부를 팔아서라도 가격 변동 리스크를 회피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중국 외환보유액과 금 보유고 추이/그래픽=조수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중국은 미 국채를 내다파는 동시에 금 보유고는 계속 늘리고 있다. 지난 3월말 중국의 금 보유고는 7274만트로이온스(1트로이온스=약 31.1g)를 기록했다. 이는 2262t에 달하는 규모다. 중국은 17개월 연속 금 보유고를 늘렸으며 이 기간 동안 늘어난 금 보유고는 1010만트로이온스(314t)에 달한다.

21세기경제보도는 중국이 계속해서 금 보유고를 늘린다면 이에 상응하는 미 국채 보유규모가 계속해서 감소할 수 있다고 전했다. 금과 미 국채는 자산 배분의 헤지(위험회피) 성격, 자산 가치 보존 및 거래 유동성 등에서 강한 대체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김재현 전문위원 zorba00@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