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세월호 인양 그 후는

“잊지 않겠습니다” “함께 할게요”···10년 간 배달된 미안함·그리움·다짐[세월호 10주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경기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 있는 노란 우체통에 지난 14일 세월호 참사 유가족에게 부쳐진 편지가 쌓여 있다. 한수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월호 10주기를 이틀 앞둔 지난 14일 오전 경기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 청년부터 50대 중년까지 10여명이 모였다. 참사 후 달라진 마을의 모습을 지역 주민에게 듣는 ‘고잔동 마을 걷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들이었다. “이제 편지 쓰기 시작해 볼까요?” 강사의 말에 시민들은 각자 준비해온 엽서를 꺼냈다.

한 참가자가 “받는 사람을 정해두고 써야 하냐”고 묻자 “세월호 아이들에게 추모 편지를 써도 좋고, 유가족에게 마음을 담아 써도 좋다”는 답이 돌아왔다. 노란 펜을 든 이들은 각자의 그리움과 다짐을 엽서에 적어 내려갔다.

인천에서 온 오현정씨(56)는 “상처를 입은 공간에서 상처를 입은 사람들이 상처를 서로 보듬고 돌보는 모습이 존경스럽습니다. 그 길에 함께하겠습니다”라고 적었다. 오씨는 “세월호는 전 국민에게 트라우마였지 않나”면서 “당사자들이 아파하기만 하는 게 아니라 서로 치유해 나가는 여정이 의미 있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이전에도 희생자들에게 보내는 편지를 써왔다는 윤은미씨(52)는 “참사 초기에는 ‘잊지 않고 진상을 밝혀내겠다’는 내용이었다면 지금은 ‘10년이 지났는데도 사회가 변하지 않아 미안하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고 말했다.

안산 주민인 송희진씨(22)는 “언니와 친하게 지내던 오빠가 세월호에 탔다가 돌아오지 못했다”면서 “먼 여행을 떠난 지인과 또 다른 희생자들에게 못다한 말을 적었다”고 말했다. 송씨는 “동네에서 유가족들을 마주친 적이 종종 있는데 웃으면서 애써 괜찮다고 하는 모습이 기억에 남는다”면서 “누구도 이런 아픔을 다시 겪지 않도록 제대로 된 재발방지책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사연을 적은 엽서를 단원고 한쪽 언덕에 설치된 노란우체통에 넣었다.

경향신문

경기 안산시 고잔동 주민이 세월호 참사 이후 변화된 마을 이야기를 들려주는 ‘고잔동 마을 걷기’ 프로그램에 참가한 시민이 지난 14일 단원고등학교에서 세월호 참사 유가족에게 보내는 엽서를 우체통에 넣고 있다. 한수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노란우체통은 지난 2022년 단원고에 처음 설치됐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농성하던 서울 광화문 광장 등에도 비슷한 우체통이 설치됐었다. 노란우체통에는 10주기를 앞두고 시민들이 넣은 편지가 수십 통 쌓여 있었다. 편지는 4·16세월호가족협의회로 전달된다. 4월이 되면 전국 각지 학교, 시민단체 등에서 4·16세월호가족협의회로 편지를 보낸다. 장동원 4·16세월호가족협의회 총괄팀장은 “10주기가 다가오면서 편지뿐 아니라 포스트잇 보드 등 단체로 보내오는 것이 늘었다”고 했다.

모인 편지는 안산 단원구 민주시민교육원 내 4·16기억저장소에 보관된다. 지난 10년간 이곳으로 온 엽서는 1246건, 편지 1437건, 메시지 1154건이다. 낱장일 경우에는 엽서, 여러 장이거나 특정인에게 보내는 것은 편지, 포스트잇 등은 메시지로 분류된다. 엽서와 메시지는 단체로 온 것이 많아 실제 장수는 훨씬 많다. 단체 엽서는 보통 500장을 한 건으로 묶어 보관한다고 한다. 한 곳에서 꾸준히 보내오는 경우도 있다. 지난해 엽서를 보낸 경기 고양의 한 중학교에서 올해도 다시 엽서를 보내겠다고 연락이 왔다.

기억저장소는 자료를 스캔해 디지털 자료로 온라인에 보관하는 작업도 하고 있다. 그림·사진·조각·서예 등 보내오는 기록물도 다양하다. 기억저장소 관계자는 “참사 초기에는 편지 형식의 기록물이 많았다면 요즘은 유화, 판화, 설치 미술까지 기록물의 형태가 더 넓어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4·16기억저장소에서 일하는 고 허재강군 어머니 양옥자씨는 “대부분 ‘잊지 않겠다’ ‘함께 하겠다’와 같은 내용”이라며 “편지가 오면 엄마들끼리 돌려보면서 위안을 얻고는 했다”고 말했다. 양씨는 “초등학생 아이들이 10주기를 맞아 ‘10년이 흘러도 여전히 아프실 것 같다. 자라날 후배들이 아프지 않도록 힘써달라’고 한 게 기억이 남는다”고 말했다.

경향신문

‘고잔동 마을 걷기’ 행사에 참가한 시민이 지난 14일 경기 안산시 단원고등학교에서 유가족에게 보내는 엽서를 쓰고 있다. 한수빈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찢긴 상처 틈새로 ‘하나된 봄’이 왔다[세월호 10년, 함께 건너다]
https://www.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404010600141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국회의원 선거 결과, 민심 변화를 지도로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