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9 (금)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尹정권 탄생시킨 서울·충청의 변심…2년만에 野로 돌아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제22대 국회의원선거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여당 참패라는 선거사상 초유의 결과를 낸 이번 4·10 총선은 '스윙보터' 지역인 충청의 영향이 컸다. 2년 전 대선과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거뒀던 국민의힘이 4·10 총선에서 참패한 것은 서울과 충청의 민심이 2년 사이 크게 흔들렸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의 경우 김건희 여사 명품백 논란,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 의혹 등으로 정부·여당에 대해 등을 돌린 유권자가 많았고 대전과 충청권에서는 연구개발(R&D) 예산 삭감 논란이 여당에 직격탄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1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정당별 지역구 득표수를 비교한 결과, 17개 시도 중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곳은 11곳이었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을 비롯해 전남·전북·광주 등 텃밭 호남에서 압도적 승리를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강원과 전통적인 강세 지역인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만 지켰을 뿐 이를 제외한 다른 모든 시도에서 민주당에 열세였다.

2년 전 대선에서는 국민의힘이 17개 시도 가운데 10곳에서 승리했지만 이번 총선에서는 승리한 곳이 6곳으로 줄어들었다.

이번 총선이 대선 때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대표적 '스윙보터' 지역인 충남·충북을 모두 민주당이 앞섰다는 점이다. 24만7077표로 승부가 갈린 지난 대선에서 충남과 충북은 각각 8만292표와 5만6068표 차이로 윤석열 대통령이 승리한 곳이었다.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에게 더 많은 표를 안겨줬던 대전 역시 이번에는 민주당으로 넘어갔다. 첨단 연구단지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위치한 대전은 정부의 R&D 예산 삭감 논란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지역이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도 이를 겨냥해 지난 5일 대전에서 KAIST 재학생들과 사전투표를 한 바 있다.

이번에 국민의힘에서 민주당으로 민심이 크게 이동한 또 다른 지역은 서울이다.

서울은 지난 대선에서 31만766표 차이로 윤 대통령이 승리해 대선 판세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 지역이었다.

하지만 이번 총선에서 서울 표심은 대선과 다른 모습을 보였다. 서울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국민의힘 후보들보다 33만6963표를 더 많이 받은 것이다. 과거 윤 대통령에게 표를 줬던 일부 중도·보수 유권자들이 총선에서는 민주당 후보에게 표를 준 것이다.

김춘석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부문장은 서울 민심이 크게 요동친 것과 관련해 "전파의 여건이 잘 갖춰진 수도권이 각종 이슈에 가장 반응이 빠르기도 하고, 인구 구성상으로도 정당 지지세가 고착화된 유권자들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통상 대선이 총선보다 투표율이 높고, 투표자 수도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정부·여당에 실망한 일부 보수층이 투표 자체를 포기했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실제 보수세가 전통적으로 강한 경남에서는 민주당 득표수가 대선(79만4130명)과 총선(78만4235명)에 있어 큰 차이가 없는 반면, 국민의힘 득표수는 대선(123만7346명)과 총선(102만6500명)의 격차가 크다.

민심의 변화가 컸던 대전에서도 민주당 득표수가 대선(43만4950명)과 총선(43만8720명)에 있어 큰 변화가 없었지만, 국민의힘 득표수는 46만4060명에서 34만6208명으로 대폭 감소했다.

이 같은 현상은 스윙보터 지역인 충남·충북에서도 두드러진다. 지난 대선에서 민주당 득표수가 각각 58만9991명, 45만5853명이었던 충북과 충남은 이번 총선에서 60만3632명, 44만3603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의힘 득표수는 충남(67만283명)과 충북(51만1921명)이 각각 55만1754명, 42만3366명으로 대폭 줄었다.

구본상 충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당 지지율을 통해 이번 선거를 바라보면 수도권 등에서도 여야가 비슷하게 갈 수 있었던 부분이 있었지만, 정권 심판이란 요인이 크게 작용하면서 야당에 유리한 상황이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전경운 기자 / 박윤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