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정부, 미 MIT · 예일대 등과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 설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정부가 이공계 최고 명문으로 꼽히는 미국의 매사추세츠공대(MIT), 예일대, 퍼듀대, 존스홉킨스대, 조지아텍과 독일의 프라운호퍼를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의 우선 협상 대상으로 정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5일) 안덕근 장관 주재로 열린 '글로벌 개방형 혁신 전략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글로벌 산업기술 협력센터는 국제 공동 연구개발(R&D) 기획과 파트너 매칭, 국내 연구자의 현지 지원 등을 담당하는 글로벌 기술협력 플랫폼입니다.

앞서 세계 9개국 30개 대학과 연구소가 신청했으며, 서류 심사와 발표 평가 등을 거쳐 최종 6개 기관이 선정됐습니다.

선정 기관 중 MIT는 로봇, 인공지능(AI), 디스플레이, 바이오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예일대는 반도체와 로봇·AI, 퍼듀대는 배터리와 모빌리티, 존스홉킨스대는 신약개발과 헬스케어 등 바이오 분야, 조지아텍은 반도체, 독일의 프라운호퍼는 모빌리티, 배터리, 반도체가 각각 중점 분야입니다.

안덕근 장관은 간담회에서 "6개 협력센터를 거점으로 국제 공동 R&D에 필요한 전 과정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겠다"며 "글로벌 인수합병(M&A), 기술 이전, 라이센싱, 우수 기술자 유치 등의 글로벌 협업을 촉진하는 '글로벌 오픈 이노베이션 종합 지원전략'을 수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연합뉴스)

조을선 기자 sunshine5@sbs.co.kr

▶ 요동치는 4.10 총선, 목표는 여의도!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