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대는 기계공학부 조영태·김석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신승우 박사, 삼성전자 DS 부문 오승민 연구원 연구팀이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조한나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3D 마이크로 구조 기반 커피링(coffee-ring) 효과 증폭 센싱 표면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고감도 기판이나 감염성 병원균 검출에도 활용할 것으로 기대되는 ‘3D 마이크로 구조 기반 커피링(coffee-ring) 효과 증폭 센싱 표면 기술’을 개발한 국립창원대 기계공학부 조영태, 김석 교수, 한국기계연구원 신승우 박사 연구팀(왼쪽부터). 창원대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구팀에 따르면 커피링은 커피를 마시다 흘린 자국이나 얼룩의 가장자리에 매우 작은 입자가 쌓여 있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은 구조에 따라 커피링 효과 없이 가운데 점 모양으로 모으거나 커피링 효과를 극대화해 가장자리에 많은 입자를 모아 농축할 수 있는 입자 제어 관련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액체 형태의 방울이 증발한 후 남아 있는 입자를 제어하는 게 핵심인데, 향후 고감도 센싱을 위한 표면 기판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바이오 센싱과 결합하면 특정 분자 검출 기술로 특정 화합물을 분석해 △질병 진단 △임상 감지 △생화학적 감지 등 실생활에 있어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게 연구팀 설명이다.
연구팀이 이 연구에서 제안한 ‘3D 마이크로 공동 구조’는 내부에 공기를 가두고 내보내지 않아 물방울이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커피링 효과를 좁은 면적에만 발생할 수 있도록 유도해 많은 입자들이 좁은 공간에만 쌓일 수 있도록 했다.
쌓인 입자 밀도를 대폭 향상 시킨 것인데, 쉽게 설명하면 넓은 모래사장에서 바늘을 찾을 때 모래들을 한 위치로 몰아 바늘을 찾기 쉽도록 한 것과 비슷한 원리다.
이 기술은 저렴하게 대량 생산이 가능한 나노임프린트 리소그래피 기술이 사용됐다.
고가의 정밀 분석 장비가 필요 없어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자들을 검출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하면 의료시설 접근이 어려운 환경이나 값비싼 진단 장비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조영태·김석 교수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의 혁신적인 접근 방식이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저비용 질병 진단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내용은 마이크로·나노 기술 및 구조 분야 국제 저명 학술지인 ‘Small Structures’ (출판사: Wiley, SCI(E) 학술지, 2022년 기준 IF 15.9, JCR IF 상위 6.5%)의 최신호 (3월8일)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창원=강승우 기자 ksw@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