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7 (일)

이슈 연금과 보험

[금융포커스] 대형 보험사가 비교·추천 서비스 수수료 안 내겠다는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비즈

손해보험사 사옥 전경.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삼성화재, KB손해보험, 현대해상, 흥국화재. /각 사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형 보험사들이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수수료를 고객이 지불하게 하는 방식으로 플랫폼업계와 주도권 싸움을 하고 있다. 수수료 부담 없이 저렴한 보험에 가입하려면 플랫폼이 아닌 보험사 홈페이지를 방문해야 한다는 공식을 만들어 고객을 뺏기지 않겠다는 심산이다. 대형 보험사들은 비교·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보험 시장을 장악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면 플랫폼업계는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주택담보대출 비교·추천 서비스를 보더라도 수수료는 고객이 아닌 은행이 부담한다. 상품 공급자가 보험사이기 때문에 플랫폼이 보험 시장을 장악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출시 한 달 동안 서비스를 통해 계약된 자동차보험 건수는 6100여건이다. 삼성화재가 점유율 23%로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캐롯손해보험·메리츠화재(각 17.3%), 4위는 하나손해보험(13%)이다. 반면 대형 보험사로 분류되는 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은 총합 점유율 27.1%에 그쳤다.

중소형 보험사는 비교·추천 서비스에서 약진했지만 웃지는 못하고 있다. 계약 건수가 적어 당장 매출 증대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서비스가 흥행하지 못하면 자동차보험 시장은 기존 대형 보험사들이 계속 독과점할 가능성이 커진다.

핀테크업계와 중소형 보험사들은 서비스 흥행 실패의 원인으로 대형 보험사의 요율 산정을 지적한다. 서비스를 이용해 자동차보험에 가입할 경우 플랫폼에 3%의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데, 대형 보험사들은 이 수수료를 보험료에 포함했다. 수수료를 고객이 부담하는 것이다. 수수료를 내지 않으려면 플랫폼이 아닌 각 보험사 홈페이지에서 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고객을 플랫폼에 빼앗기지 않기 위한 하나의 장치인 셈이다.

조선비즈

네이버와 카카오. /조선비즈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형 보험사들은 플랫폼이 수수료를 받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하지만 서비스 흥행을 바라지 않아 이 같은 보험료 체계를 만들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플랫폼이 서비스를 통해 보험 시장에서 영향력을 갖추면, 주도권이 플랫폼으로 넘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굳이 플랫폼이 없어도 보험 산업은 잘 성장하고 있었다”며 “플랫폼이 고객 풀을 가지고 보험을 판매할 수도 있는 것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법인보험대리점(GA) 시장도 이렇게 변모해 오면서 보험사들이 GA 눈치를 보게 됐다”고 했다.

플랫폼업계는 대형 보험사의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당장 성공적이란 평가를 받는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 비교·추천 서비스의 경우 은행이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는데, 플랫폼이 은행을 잠식했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이다.

핀테크업계 관계자는 “은행이 수수료를 부담한다는 점에서 불만을 표한 적이 전혀 없다”라며 “기존 대면 영업자들에게 지불하던 수수료보다 플랫폼 수수료가 더 저렴하기 때문에 은행은 플랫폼을 이용하는 게 더 유리하다고 생각한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고객한테 이자수익을 받는데, 수수료까지 전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대형 보험사와 플랫폼 간의 주도권 싸움이 계속될수록 후속으로 출시될 비교·추천 서비스도 실패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고객이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금융 당국은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보험료 산정 등은 각 보험사 자율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상생금융이라는 명목으로 금융 기관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던 것과는 딴판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라고 했다.

이학준 기자(hakjun@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