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27 (토)

'유통 왕좌' 차지한 쿠팡…이마트 꺾고, 신세계그룹 넘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쿠팡, 작년 매출 30조원 돌파…유통업계 최대 매출고

신세계그룹 전체매출 턱밑 추적

치열한 경쟁 예고…"넘어야 할 산 적지 않아"

쿠팡이 지난해 60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창립 이후 최초로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매출액은 30조원을 돌파하면서 외형 성장세를 이뤘고, 당기순이익도 연간 6000억원이 넘었다. 유료 회원제인 ‘와우 멤버십’ 회원 수는 1400만명을 돌파하면서 쿠팡의 실적 개선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쿠팡은 28일 공개한 지난해 4분기 실적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4억7300만달러(약 6174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쿠팡은 2010년 창립 이후 사상 첫 연간흑자를 달성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243억8300만달러(약 31조8298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2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쿠팡 매출이 30조원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시아경제

쿠팡이 지난해 6천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2010년 창사 이래 14년 만에 처음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사진은 28일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4분기 쿠팡은 분기 기준으로도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쿠팡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65억6100만달러(약 8조6555억원)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성장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1억3000만달러(약 1715억원)를 내면서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1%나 늘었다. 쿠팡은 2022년 3분기에 처음으로 분기 기준 영업흑자(1037억원)를 기록한 뒤 지난해 첫 연간 흑자전환 달성에 성공했다.

쿠팡의 지난해 조정 당기순이익은 4억6500만달러(약 6070억원)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의 조정 당기순이익은 1억3700만달러(약 1807억원)로 나타났다. 이는 각 기간의 영업이익 규모와 비슷한 수치다. 다만 쿠팡은 보고서에서 "회계상 보고된 당기순이익은 4분기와 지난해 각각 10억달러, 13억6000만달러 규모지만 이연법인세 자산 인식 등 일회성 조정에 따른 8억9500만달러가 반영된 결과로, 실제 현금 유입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를 반영한 지난해 4분기와 연간 순이익은 1억3700만달러와 4억6500만달러다.

쿠팡이츠와 쿠팡플레이, 대만 시장 등 성장사업 분야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2억7300만달러(약 3601억원)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배 성장했다. 이는 대만 시장의 로켓배송 확대와 국내 쿠팡이츠의 성장에 힘입은 결과라는 설명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쿠팡의 매출을 사업 분야별로 살펴보면 로켓배송·로켓프레시·로켓그로스·마켓플레이스 등 프로덕트 커머스 분야 매출은 235억9400만달러(약 30조7998억원)로 전년보다 19% 성장했다. 쿠팡이츠·대만·쿠팡플레이·쿠팡페이 등 성장사업 분야 매출은 7억8900만달러(1조299억원)를 기록, 전년과 비교해 27% 증가했다.

그동안 쿠팡은 누적된 적자에 대해 쿠팡은 물류센터 확충 등을 위한 ‘계획된 적자’라는 입장을 밝혀왔다. 쿠팡은 ‘로켓배송’으로 대표되는 자체 물류망 구축을 위한 대규모 투자를 집행해왔다. 실제로 쿠팡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낸 영업적자를 모두 합치면 약 4조원에 달한다. 다만 영업적자 규모는 2021년 14억9396만달러(약 1조7097억원)에서 2022년 1억1201만달러(약 1447억원)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대한민국 인구 4명 중 1명 쿠팡 ‘와우’ 회원
쿠팡을 사용하는 고객의 수도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말 쿠팡의 활성고객은 210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의 1811만5000명과 비교해 16% 증가한 수치다. 활성고객은 분기에 제품을 한 번이라도 산 고객의 수를 뜻한다.

고객 성장률은 매 분기 뜀박질 중이다. 지난해 분기별 고객 성장률은 1분기(5%), 2분기(10%), 3분기(14%)에 이어 4분기는 16% 늘었다. 전체 활성고객은 직전 분기의 2042만명보다 약 60만명 늘었다. 고객 1인당 매출은 지난해 4분기 41만1600원(312달러)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증가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쿠팡의 유료 회원제인 ‘와우 멤버십’ 회원 수는 지난해 말 기준 약 1400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말의 1100만명과 비교해 27% 늘어난 수치다. 쿠팡은 와우 멤버십 회원에게 새벽배송과 무료 반품,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쿠팡플레이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김범석 쿠팡 창업자는 "지난해 우리는 와우 회원들에게 기록적인 30억달러(약 3조9162억원) 규모의 혜택과 비용 절감을 제공했다"며 "쿠팡의 상품과 쿠팡이츠, 새벽배송을 포함하는 독점 할인, 쿠팡플레이 스트리밍 서비스까지 쿠팡이 제공하는 전례 없는 가치를 찾는 고객이 점점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쿠팡의 매출과 활성고객, 와우 회원 성장은 다양한 제품 셀렉션·가격·서비스에 대해 ‘고객에게 와우’를 선사하려는 끊임없는 노력을 반영한 것"이라며 "우리는 와우 멤버십에 더 높은 수준의 비용 절감과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거랍 아난드 쿠팡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막대한 소매시장 지출이 이뤄지는 한국에서 우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한 자릿수에 불과하고 대만은 훨씬 작다"면서도 "2024년에도 계속해서 고객을 만족시키고 장기적인 주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쿠팡, 국내 유통 시장 석권…中 직구앱 ‘알리·테무’ 급부상은 숙제
쿠팡은 지난해 30조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하면서 국내 유통업계 1위로 올라섰다. 2022년 e커머스 시장에서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국내 온·오프라인 합친 유통시장에서 최대 매출고를 달성한 것이다.

기존 유통업계 1위인 이마트는 지난해 29조4722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쿠팡에 왕좌를 넘겼다. 이마트와 신세계백화점 매출을 합친 규모(35조8292억원)를 턱밑까지 추격한 상황이다. 여기에 영업이익은 신세계(6397억원)에 이은 2위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마트의 469억원의 영업적자를 감안하면 신세계그룹(5928억원) 영업이익을 제친 셈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e커머스 시장 최대 경쟁자인 네이버는 지난해 커머스 부문에서 47조8000억원 규모의 거래액을 기록했지만, 해당 매출액은 2조5000억원이었다.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네이버는 판매자들의 수수료가 매출로 잡히는 탓이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밝힌 2022년 국내 e커머스 시장점유율은 쿠팡이 24.5%로 1위, 뒤를 이어 네이버쇼핑(23.3%), SSG닷컴(10%) 순이었다.

다만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 중국 직구(직접구매) 애플리케이션(앱)이 최근 국내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통업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알리익스프레스 앱 사용자 수는 717만5000명으로 지난해 1월(336만4000명)보다 113% 급증했다. 테무 앱 이용자 수도 지난해 8월 52만명에서 지난달 570만9000명으로 10배 이상 늘었다. 이 같은 이용자 수 증가는 국내 e커머스 업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사례다.

전통 유통 강자들도 반격을 준비 중이다. 롯데쇼핑과 신세계·이마트는 대대적인 경영쇄신을 진행 중이다. 이마트는 지난해 9월 영화제작사 ‘일렉트로맨’을 청산하고, 애완동물 전문매장 ‘몰리스’를 통폐합하는 등 사업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다. 여기에 한 달간 누적 180만명 이상의 인파가 몰린 수원 스타필드, 광주복합쇼핑몰 등 오프라인 매장 강화와 ‘최저가 전략’ 등 생존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대형마트 평일 의무휴업 해제도 변수다. 대형마트가 새벽 배송에 나설 경우 신선식품 배송으로 덩치를 키워온 쿠팡과의 경쟁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현재 유통업계는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생존을 위한 경쟁에 들어간 상황"이라며 "시장점유율이 50%를 넘기는 ‘절대적인 1위 사업자’가 나오기 힘든 유통 시장에서 언제 순위가 바뀔지 모르는 상황인 만큼 경쟁도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성기호 기자 kihoyeyo@asiae.co.kr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