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2 (수)

이슈 국회의원 이모저모

배복주 “이준석, 내게 정치 폭력” 李 “불법·반미 전장연이 왜 개혁신당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배복주(왼쪽) 정의당 전 부대표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개혁신당 내분의 중심에 선 배복주 전 정의당 부대표는 18일 “이준석 대표는 지금 자신의 권력을 이용해 제게 정치적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자 이준석 대표는 즉각 반박문을 내고 불법 시위를 옹호하고 과거 반미 집회에도 참여했던 배 전 부대표가 왜 개혁신당에 오고자 하는지 의문스럽다는 입장을 밝혔다.

배 전 부대표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자신을 ‘전장연 박경석 대표의 배우자’라고 지목해온 이준석 대표 측의 거부 움직임을 거론하며 “이준석 대표와 솔직한 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 지난 13일 입당 사실을 알리고 ‘만나서 말씀을 나누고 싶다’는 취지의 문자를 보냈다”고 했다. 그는 따로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14일 개혁신당 최고위에서 이준석 대표가 ‘배복주의 문자를 받았고, 이는 도발이자 선전포고’라는 식의 언급을 했다는 소식을 전해들었다고 했다.

배 전 부대표는 “최대한의 선의를 담은 그 몇 줄의 문자에서 대체 어떤 적의를 읽었길래 ‘도발’, ‘선전포고’와 같은 비범한 반응을 할 수 있는지 몇 번이고 들여다봤지만, 평범한 저로서는 지금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준석 대표가 자신을 향해 ‘개혁신당의 당원과 지지자들이 일원으로 환영할 수 있는 인물이 아니며, 법적 대표의 권한으로 공직후보자 추천이나 당직 임명 등의 가능성은 없다’고 공개 입장을 낸 것과 관련, “적어도 한 정당에서 부대표까지 지냈던 정치인이 그런 바람이나 의지를 갖는 것이 왜 낙인과 배제의 원인이 돼야 하는지, 왜 공식 회의 석상에서 ‘물의를 일으킨 행동’으로 ‘어떤 처분’의 대상이 돼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배 전 부대표는 “이준석 대표는 자신의 지지층이 동의할 수 없다는 이유로 저를 노골적으로 배제했다”며 “대화를 시도하지 않고 낙인과 배제의 의지만 드러내는 이준석 대표의 모습에 깊이 실망했다”고 했다. 이어 “저는 장애 여성으로 살아오며 수없이 많은 배제와 분리를 경험했다. 강자의 갑질이나 괴롭힘을 충분히 알고 있다”며 “이준석 대표는 지금 자신의 권력을 이용해 제게 일종의 정치적 폭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 대표는 양당 내부의 패권 세력이 해왔던 행태와 별반 다르지 않은 행동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알아야 한다”며 “부디 내 지지자를 지킨다는 미명으로 국민과 당원이 부여해 준 권력을 남용하지 말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자 이준석 대표는 즉각 페이스북과 당 공보본부를 통해 반박문을 냈다. 그는 “당 대표는 당과 당원, 그리고 지지자의 가치를 지킬 의무가 있다”며 “배 전 부대표는 스스로 주체적인 정치인임을 강조하면서 전장연의 불법적인 시위를 옹호해왔고, 그리고 스스로도 전장연의 반성폭력위원회 위원장이라는 주요 직위를 역임했다”고 했다.

이준석 대표는 “배 전 대표는 지난 2022년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를 옹호하며 공개적인 발언으로 그에 대한 지적을 장애인 혐오로 몰면서 정의당에서 활동하셨다”며 “(개혁신당에서) 함께하기 위해서 생각을 정정하거나 과거 발언에 대해서 책임지고 설명해야 하는 주체는 배 전 부대표다. 이재명 대표에게 사법리스크를 외치면서 민주당에 꼭 들어가야 한다면 얼마나 우스꽝스러운 행보겠느냐”고 했다.

이어 “전장연은 과거 이석기 의원 석방대회와 반미자주대회에도 참여하던 단체인데, 왜 그 단체의 핵심간부가 뜻하는 바를 펼치기 어려운 개혁신당에 들어오고 비례대표 국회의원에 지원하겠다고 인터뷰하면서 입당하겠다는 것인지 상식적인 수준에서는 이해가 어렵다”며 “(그 이유를) 당원과 지지자들께 소상히 설명하는 과정이 있길 바란다. 당원 자격심사도 그러한 과정의 일환이 될 것”이라고 했다.

[원선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