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질병과 위생관리

충북도 "오송, 아시아 최고 '바이오 허브' 도시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로드맵 용역 완료…2033년까지 1조2천625억원 들여 52개 과제 추진

(청주=연합뉴스) 전창해 기자 = 청주 오송을 바이오 클러스터 중심의 국제도시로 발전시켜나갈 로드맵이 나왔다.

연합뉴스

청주 오송에서 추진 중인 사업 현황도
[충북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14일 도청 여는마당에서 '오송 국제도시 조성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했다.

이날 공개된 용역 결과에 따르면 오송 국제도시는 '아시아 최고의 바이오산업 국제허브'를 지향한다.

이를 위한 5대 추진전략은 ▲ 글로벌 산업 경쟁력 고도화 ▲ 국제도시 거점 기능 강화 ▲ 세계 최고 수준 도시 인프라 조성 ▲ 건강 중심 서비스 산업 육성 ▲ 글로벌 투자환경 개선으로 정했다.

2033년까지 이행할 52개 세부과제도 도출했다. 여기에 투입할 예산 규모는 국비 3천745억원을 포함해 총 1조2천625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주요 과제를 보면 첨단바이오 특화분야 글로벌 선도사업 육성을 비롯해 KTX 오송역 일원의 철도클러스터 조성 부지에 국립철도박물관을 유치할 계획이다.

가족 및 아동청소년 복합시설인 글로벌 행복문화센터를 조성하는 한편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 특수대학 건립 등 보건의료 전문인력 양성 인프라 구축도 추진한다.

이밖에 바이오폴리스지구를 중심의 지능형 디지털 건강시티 시범사업 추진, 오송역 미래형 광역복합환승센터 구축, 포뮬러 E 대회 등 국제스포츠 이벤트 유치·개발, 글로벌 창업허브 조성 방안도 제시했다.

오송 국제도시 조성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파급효과는 전국적으로 생산 유발 2조3천709억원, 부가가치 유발 1조674억원, 취업 유발 1만3천182명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충북도는 용역 결과를 지속해서 수정·보완하고, 효과적인 이행을 위해 경자청·청주시·민간단체·기업·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총괄체계 구축도 검토하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조성될 오송 국제도시는 청주국제공항과 오송역 등 교통인프라를 기반으로 바이오·화장품 등 첨단산업을 아우르는 클러스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jeonch@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