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지난 7일 정오 기준 총 12만4103명의 차주가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통해 약 2조9000억원 규모의 대출을 대환했다. 지난해 5월31일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개시한 지 약 8개월 만이다.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인프라를 통한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가 개시 15일 만에 신청자 수 1만명을 넘었고, 신청액도 1조8000억원에 육박했다. 사진은 25일 서울 용산구에 설치된 시중은행 ATM.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기존 대비 낮은 금리의 신용대출 상품으로 갈아탄 차주는 평균 약 1.60%포인트(p)의 금리 하락과 1인당 연간 기준 57만원의 대출이자를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신용평점 역시 평균 약 36점(KCB 기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9 일 시작된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에도 차주의 신청이 몰리고 있다. 지난 7일 정오 기준으로 22영업일 만에 총 2만3598명의 차주가 신규대출을 신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의 신규대출 신청 규모는 약 4조2000억원이다. 현재까지 주담대 갈아타기의 모든 과정이 완료된 차주는 총 5156명이며, 대출 이동 규모는 9777억원 수준이다. 낮은 금리로 갈아탄 차주는 평균 약 1.55%포인트 낮은 금리를 적용받아 1인당 연간 기준 294만원의 대출이자를 절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신용평점 역시 평균 약 25점 상승했다.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도 출시 엿새 만에 3800여명이 몰리는 등 차주의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달 31일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개시 이후 6영업일 간 총 3869명의 차주가 신규 대출을 신청했다. 이들의 신규대출의 신청 규모는 약 6788억원이다. 이 중 현재까지 대출 심사가 완료돼 대출 약정을 체결한 차주는 370명, 신청액은 662억원이다.
현재까지 갈아타기의 모든 과정이 마무리된 차주는 8명, 대출이 동 규모는 11억원이다. 전세대출의 경우 ▲주택의 시세 및 선순위 채권 여부 ▲세대원의 주택보유현황 ▲보증기관별 보증 가입요건 충족 여부 ▲임대차계약의 진위여부 등 여러 확인 절차가 필요한 만큼 실제 심사 완료 및 대출 이동은 설 연휴 이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아직 전세 갈아타기를 완료한 차주는 8명이지만 이들 역시 금리 인하 및 대출이자 절감 효과를 누렸다. 당국에 따르면 이들 역시 평균 1.35%포인트 낮은 금리를 적용받아 1인당 연간 기준 192만원의 대출이자를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에서도 고객 유치를 위해 경쟁적으로 최저 연 3% 초중반의 갈아타기 전용 상품을 내세우고 있다"면서 "2022~2023년 금리 상승기에 불가피하게 대출을 받은 차주로선 1%포인트 안팎의 금리 차이가 나는 만큼 간편한 대환 서비스는 매력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당국은 그간의 운영 결과를 토대로 제도 개선에도 착수한다.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의 경우 그 대상을 아파트 담보로 한 대출에서 '실시간 시세 조회가 가능한' 빌라·오피스텔 등을 담보로 한 대출로도 확장할 예정이다. 아울러 차주 명의로 소유권 등기가 이뤄지고 기존 대출 금융회사의 근저당권 설정이 완료된 잔금대출에 대해서도 주택담보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참여기관 협의 등을 거쳐 검토해 나갈 계획이다.
전세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의 경우 현재는 보증기관 간 제도 차이로 전세 임차 계약기간의 2분의 1이 도과하기 전까지만 대출을 갈아탈 수 있으나, 이 기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당국은 한국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SGI서울보증 등 보증기관과 해당 문제를 협의할 예정이다.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이용 가능 시간도 확대를 검토한다. 현재 신용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는 대충 갈아타기의 모든 과정이 15분 내 원스톱으로 이루어지는 점을 고려, 금융회사의 영업시간에 해당하는 오전 9시에서 오후 4시까지만 갈아타기가 가능하다. 당국은 이에 대해서도 협의를 거쳐 시간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