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미술의 세계

고려 불교문화의 정수 '사리' 귀환한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스턴미술관, 부처님오신날 전 사리 기증

고려 명승 사리 85년 만에 고국 품으로…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는 임시 대여

미국 보스턴미술관에 전시된 고려 시대 스님의 사리가 우여곡절 끝에 귀환한다. 고려 불교문화의 정수가 담겼다고 평가받는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다. 문화재청은 "일정 기간 대여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한편 사리를 대한불교조계종에 기증하기로 보스턴미술관 측과 합의했다"고 6일 전했다. 사리는 불교에서 참된 수행의 결과로 생겨난다고 여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이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계종 문화부장인 해공 스님과 최응천 문화재청장, 보스턴미술관 관계자들은 5일(현지시간) 보스턴에서 만나 사리가 불교에서 신앙 대상으로 여기는 성물(聖物)이라는 점에 뜻을 함께했다. 미술관 측은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에 보관된 사리를 부처님오신날(5월 15일) 이전에 기증한다. 조계종은 현지에서 전통 의례를 진행한 뒤 사리를 한국으로 모셔 올 계획이다. 해공 스님은 "환지본처(還至本處·본래 자리로 돌아간다는 뜻의 불교 용어)의 의미를 새기며 사리를 최대한 존중해 여법(如法·법과 이치에 합당함)하게 모실 것"이라고 말했다. 그 뒤 보존 방안은 조계종과 회암사 및 봉선사가 협의해 결정한다. 불자들에게 친견할 기회를 제공할지도 함께 검토한다.

사리와 달리 사리구는 일정 기간 임시 대여 형태로 국내에 전시될 예정이다. 아직 대여 일정이나 방법은 결정되지 않았다. 임시 대여를 아쉬워하는 시각에 최응천 문화재청장은 "조계종, 보스턴미술관과 긴밀하게 협력하며 남은 과제 일정을 착실히 추진할 계획"이라며 "보스턴미술관과 꾸준히 상호 우호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종교계 등은 사리와 이를 보관하는 용기인 사리구를 하나로 본다. 문화재청도 이를 모두 돌려받으려고 2009년부터 논의를 진행했다. 보스턴미술관 측은 불법적으로 취득했다고 볼 증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사리만 줄 수 있다는 의향을 고수해 2013년부터 협의는 사실상 중단됐다.

논의는 지난해 4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방문 때 보스턴미술관을 찾은 부인 김건희 여사가 반환을 위한 논의를 제안해 최근 재개됐다. 문화재청 측은 "국외로 반출된 지 약 한 세기 만에 국내로 들어오는 것"이라며 "고려 공예품에 관한 학술 연구 진흥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제도금 라마탑형 사리구에는 작은 크기의 팔각당형 사리구 다섯 기가 안치돼 있다. 내부에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와 지공(?∼1363) 사리 한 과, 나옹(1320∼1376) 사리 두 과 등이 담겨 있다. 지공은 중국 원나라에서 불법을 가르쳐 널리 알려진 스님이다. 나옹은 공민왕(재위 1351∼1374)의 스승으로 잘 알려져 있다.

사기구는 고려 말 나옹이 입적한 뒤 제작됐다고 전해진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유출됐는데 보스턴미술관이 1939년 한 업자로부터 취득했다고 알려졌다. 보스턴미술관이 1941년 발간한 간행지에 따르면 원래 모셔진 곳은 경기 양주 회암사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