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 금리 흐름

美 Fed 이사 "현재 금리인하 부적절…인플레 정체시 금리 올려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셸 보우먼 Fed 이사

"美 통화정책, 다른 선진국과 다를 것"

미셸 보우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가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일축하며 인플레이션 압력 상승 시 금리를 인상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이달 금리 인하에 나섰지만 Fed는 통화정책 경로는 다를 수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보우먼 이사는 25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연설을 앞두고 사전 배포된 자료에서 "우리는 아직 정책금리를 낮출 적절한 시점에 오지 않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지속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데이터가 들어오면 통화정책이 과도하게 제한적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연방기금금리를 점진적으로 낮추는 것이 적절하다"면서도 "올해 금리 인하는 예상하지 않고, 인하 시점을 미래로 옮겼다"고 설명했다.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해서는 "많은 상승 위험"이 있다고 진단하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까지 거론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진전이 정체되거나 역전될 경우 향후 회의에서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올릴 의지가 있다"며 "경제 전망에 대한 위험, 불확실성을 고려해 정책 기조 변화를 고려하는 접근 방식의 신중함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우먼 이사는 오는 27일 발표되는 5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에 대해서는 4월 수치보다는 낮아지겠지만, Fed는 당분간 기준금리를 5.25~5.5%로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Fed가 가장 중시하는 인플레이션 지표인 근원 PCE 물가는 5월에 전월 대비 0.1%, 전년 대비 2.6% 올랐을 것으로 예상된다. 직전월(0.2%·2.8%) 수치를 모두 밑도는 수준이다.

미국의 통화정책 방향이 ECB 등 주요국 움직임에 흔들리지 않을 것이란 점도 강조했다. 앞서 ECB는 지난 6일 기준금리를 연 3.75%로 0.25%포인트 내렸다.

보우먼 이사는 "앞으로 몇 달 동안 미국의 통화정책 경로는 다른 선진국의 경로와 다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통화정책에 대한 보우먼 이사의 견해는 금리 인하에 신중한 Fed의 기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역시 이날 선제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는 CNBC 방송에 "선제적인 인하는 위험이 있을 때 이뤄지는 것"이라며 "우리는 일을 끝낼 때까지 단호함을 유지할 것이다. 필요하지 않을 때 선제적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향후 들어오는 인플레이션 지표 둔화 여부에 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발언도 나왔다.

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은 총재는 전날 CNBC에 "양호한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몇 달 동안 확인한다면 제약적인 정책을 유지할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될 것"이라며 "인하의 발판이 마련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