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지난 사흘간 굵직한 증시 부양책을 쏟아냈다. 국유기업 핵심 성과 지표(KPI) 항목에 시가총액(이하 시총) 관리 추가, 은행 지급준비율 0.5%포인트 인하, 증시안정기금 2조 위안(약 376조원) 투입 검토 등이다.
전문가는 국유기업의 시총 관리 기준 변화에 주목했다. 지준율 인하나 증안기금 투입이 주가 급락을 막기 위한 단기적 처방이라면, 국유기업이 주가에 매달리도록 하는 건 장기 호재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은 “(중국 정부는) 주가가 올라야만 국유기업 CEO가 연임·승진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며 “국유기업은 이익을 많이 내거나 주주에게 배당을 늘리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상당수 중국 기업은 자사주 매입이나 투자자 대상 기업설명회(IR) 등으로 주가 부양에 나설 것이란 의미다. 중국 국유기업 시총은 2022년 기준 전체 시총의 47%를 차지했다.
영국 자산운용사 애버딘 투자 부문 CEO인 르네 부엘만도 25일(현지 시간)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중국의 주식시장 부양 노력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단계’”라며 “취약한 심리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중국 국유기업이 주로 상장된 상하이종합지수는 26일(현지시간) 전 거래일 대비 0.14% 오른 2910.22로 마감해 4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특히 지난 25일 상승률은 2022년 3월 16일(3.48%) 이후 처음으로 3% 이상 뛰었다. 홍콩 항셍지수도 24, 25일 각각 3.6%, 1.96% 상승했다. 다만 26일에는 증시 부양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면서 1.6% 하락했다.
중국이 특단의 조치에 나선 건 그간의 경기부양책 효과가 미미하자 흉흉해진 민심을 달래기 위해서다. 전 소장은 “올해 2분기부터는 그간의 경기 부양책이 시차를 두고 효과를 내면서 경기회복 시그널도 수치로 나타날 것”이라며 “다만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절 연휴를 앞두고 잇달아 부양책을 낸 건 민심 달래기용에 가깝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중국 인적자원사회보장부는 이달 말부터 오는 4월까지 일자리 3000만개 창출을 목표로 한 고용 촉진 프로젝트 ‘봄바람 행동’에 착수한다. 통상 1000만~1200만개였는데 목표치를 3배 수준으로 올렸다. 부동산 대책도 꾸준히 내놓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중앙은행)과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은 지난 24일 부동산 개발 업체가 토지가 아닌 상업용 건물 등을 담보로도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도록 대출 규제를 완화했다. 지난 3년간의 대출 규제와 부동산 침체로 자금난을 겪어온 개발업체가 기존 대출을 갚거나 부동산 사업을 유지·보수·개조할 수 있도록 숨통을 틔워줬다.
하지만 중국 증시가 ‘반짝 반등’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는 전문가도 많다. 이번 대책은 ‘돈을 푼’ 긴급 처방으로, 중국의 부동산과 내수 침체 등 구조적 문제를 풀긴 어렵기 때문이다.
박수현 KB증권 연구원은 “짧은 주기로 증시 부양 방안이 발표됐다는 점에서 3월 양회(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까지 국유기업 중심으로 주가가 들썩일 수 있다”며 “하지만 (시장이) 기대했던 강한 재정정책이 발표될 가능성은 작아 반등세가 지속하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