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올림픽 굴렁쇠… 첫 스마트폰… 50년 안돼도 ‘예비문화유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존-활용가치 높으면 별도 관리

동아일보

1988년 서울 올림픽 개막식 당시 윤태웅 군이 굴렁쇠를 굴리고 있다. 제작된 지 50년이 안 된 이 굴렁쇠도 문화유산으로 관리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동아일보DB


앞으로 서울 올림픽 개막식 굴렁쇠나 최초의 스마트폰처럼 생긴 지 50년이 안 되더라도 보존 가치가 크면 문화유산에 준해 국가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문화재청은 제작 또는 형성된 지 50년이 안 된 문화유산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예비문화유산’ 제도를 올 9월 15일부터 시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지난해 9월 공포된 ‘근현대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것이다. 근현대 문화유산은 개항기 전후부터 현재까지 형성된 문화유산 중 역사·예술·사회적 가치가 인정돼 보존할 필요가 있는 유산을 말한다.

기존 근현대 문화유산을 관리할 때는 건설·제작·형성된 지 50년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다 보니 50년 미만의 유산은 제대로 가치를 평가받지 못하고 훼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따라 만들어진 지 50년이 되지 않았어도 보존 또는 활용 가치가 높은 유산을 별도로 관리하기로 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개막식 때 사용된 굴렁쇠나 피겨 선수 김연아가 2010년 캐나다 밴쿠버 겨울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을 당시 신은 스케이트, 국내 최초 스마트폰 등이 대상이 될 수 있다.

문화재청은 문화재 소유자로부터 예비문화유산 등록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이후 전문가 조사,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예비문화유산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선정된 문화유산은 보존, 활용에 필요한 기술 및 교육을 국가로부터 지원받을 수 있다. 문화재청은 올 5월 예비문화유산 선정을 위한 대국민 공모전을 진행할 예정이다. 제작·형성된 지 50년이 지나면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하기 위한 방안도 검토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예비문화유산 제도를 통해 근대뿐 아니라 현대 문화유산까지 관리 범위를 확대해 적극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