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5 (월)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AI판 구글 앱스토어 되나” 오픈AI, 생태계 장악 우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챗봇 플랫폼 ‘GPT스토어’

초기 시장 주도권 장악 촉각

출혈경쟁·수수료 부담 불가피

“스타트업 멸종 내몰 이벤트”

헤럴드경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AFP]


“구글, 애플의 애플리케이션 마켓처럼, 오픈AI가 인공지능(AI) 생태계를 장악할 것이다.” (ICT업계 관계자)

무서운 속도로 AI 생태계를 집어 삼키고 있는 오픈AI의 행보가 거세다. ‘AI판 앱마켓’까지 내놓고 AI 시장을 쥐고 흔드는 모양새다. 초기 시장 주도권이 이미 오픈AI에게 완전히 넘어갔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이제 막 성장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국내 AI 스타트업 입장에선 자칫 생존을 위협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향후 대응 방안이 시급해졌다.

▶판 키우는 오픈AI...개발·판매·수익배분 모델로=12일 업계에 따르면 오픈AI가 최근 발표한 ‘GPT스토어’는 한 마디로 AI 온라인 장터다. 기업이나 개인이 오픈AI의 챗GPT를 기반으로 개발한 챗봇을 사고팔 수 있는 플랫폼이다. 구글·애플의 앱스토어가 ‘AI판’으로 나오는 셈이다. 매달 20달러(약 2만6000원)를 내는 유료 사용자들에게 공개된다.

앞서 오픈AI는 지난해 11월 누구나 쉽게 챗봇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도구(GPTs)를 선보인 바 있다. 오픈AI에 따르면 이를 기반으로 이미 300여 개에 달하는 챗봇이 개발됐다. 오픈AI는 이제 이를 판매할 수 있는 마켓까지 열어놓은 것이다.

올해 1분기 안에는 GPT스토어에 AI를 판매한 제작자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모델도 실행할 계획이다. 사용자 참여도에 따라 제작자가 수익을 지급받게 되는 구조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픈AI는 지급 기준과 관련된 상세 내용을 향후 구체화할 예정이다.

업계에선 오픈AI가 GPT스토어를 통해 ‘수익 구조’와 ‘시장 주도권’,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구글이나 애플처럼 기술을 플랫폼에 올리는 제작자에게 일정 수준의 수수료를 받는 수익 모델이 가능하다. 여기에 이용자에게 월 구독료까지 받는 수익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보다도 더 큰 의미는 AI 생태계의 주도권 강화다. 앱 마켓을 완전히 장악한 구글과 애플처럼 AI 시대에선 오픈AI가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됐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이 같은 이유다.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는 “오픈AI는 구글과 같은 기업과 경쟁을 목표로 성장하고 있다”며 “새로운 스토어를 통해 기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변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헤럴드경제

오픈AI 로고 [로이터]


▶AI 블랙홀 된 오픈AI...스타트업에겐 생존 위협=AI 생태계를 집어삼키고 있는 오픈AI의 이 같은 행보는 국내를 비롯한 AI 스타트업에게는 생존의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당장 AI 스타트업들은 GPT스토어에서 쏟아지는 기술과 더욱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하는 상황이 됐다. 기업이나 기관에 수천만원을 주고 판매했던 AI 관련 서비스가 GPT스토어에선 헐값에 풀려 수익성에 직격탄을 맞는 등의 사례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오픈AI의 GPT스토어 출시 계획이 공개됐을 당시 미국 정보기술(IT) 전문지 디인포메이션은 “AI 스타트업을 멸종으로 내몰 이벤트”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오픈AI 플랫폼에 종속돼 수수료 지불 등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는 앱마켓에서도 지속적으로 불거지고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현재 구글·애플은 앱 개발사에게 최대 30%의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구글·애플을 대체할 수 있는 앱 마켓이 많지 않다 보니 앱 개발사들은 울며 겨자먹기로 해당 수수료를 부담하고 있다. 수수료 수준, 수익 배분 등의 정책이 아직 세부적으로 나오지 않았지만 오픈AI에서도 이와 유사한 잡음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미 거대 ‘공룡’이 된 오픈AI에 대응해 국내의 대응이 시급하다는 공감대도 커진다. 스타트업들은 대기업 중심으로 쏠려있는 각종 지원 방안을 균형있게 운영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GPT스토어의 향후 파급력에 따라 스타트업들은 사업 전략 전반을 수정해야하는 상황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자본력을 가진 대기업은 그 규모에 맞는 주도권 경쟁을 하는 것이지만, 이제 막 성장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스타트업의 개발 환경은 또 다르기 때문에, 투 트랙 육성 방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세정 기자

sjpar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