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연금과 보험

“포스코 이어 KT&G는?”…국민연금 자문위, 의결권 자문범위 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말 출범 지배구조개선 자문위
주주권 행사 수책위에 자문 역할
오늘 의결권 관련 첫 회의 돌입
주주총회 대비 자문 범위 논의


매일경제

국민연금.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출범한 국민연금 ‘지배구조 개선 자문위원회(자문위)’가 다가오는 주주총회 시즌을 대비해 의결권 행사 자문 대상, 범위, 방향 등 제반사항에 대해 논의한다.

자문위는 시장의 관심이 높은 국민연금의 예민한 주주권 행사를 결정하는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수책위)에 자문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자문위 내 의결권 행사 분과는 이날 오후 중 서울 모처에서 의결권 행사 관련 사실상 첫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첫 회의를 통해 자문위는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 관련 자문 상장사 선정 및 자문 범위에 대한 방향을 잡을 것으로 알려졌다.

의결권 행사 분과 위원장은 참여연대 출신의 김경율 회계사가 맡았다.

사실상 주주총회 시즌이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자문위는 빠르게 자문 대상 기업군을 살펴볼 것으로 보인다.

특히 최근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이 포스코의 차기 회장 선정 관련 ‘깜깜이 절차’에 대해 공개적으로 지적한 만큼 자문위 의결권 행사 분과에선 포스코, KT, KT&G 등 소유 분산 기업에 대한 논의가 우선 주제로 다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지적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주주권 행사가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자문위원들의 공부 열기가 상당한 편”이라고 밝혔다.

자문위의 의견은 향후 수책위의 의사결정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수책위는 국민연금이 지분을 보유한 상장사의 민감한 주주총회 안건에 대한 의결권 행사를 지휘하는 조직이다.

수책위는 최고경영자(CEO) 선임 등 경영권과 연관된 주주총회 안건에 대해선 콜업을 통해 국민연금에 안건을 넘기라고 요구하는 편이다.

자문위는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민연금공단이 아닌 기금운용본부 산하에 설치됐다. 환경·책임·투명경영(ESG)에 정통한 민간 전문가 9명으로 구성됐다.

위원장은 김화진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맡았다.

자문위는 세부적으로 의결권 행사 분과, 지배구조 개선 분과, 스튜어드십코드 분과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분과별로 분리돼 회의를 진행한다. 지난해 12월 출범해 한 차례 상견례 형식의 만남을 가졌고, 올해 들어 공식 활동에 나섰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