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연금과 보험

[단독] 포스코 CEO 선임 절차 문제제기 나선 국민연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주이익 극대화할 수 있을지 의문”
최정우 현 회장 연임에 변수 생겨


매일경제

[사진 출처=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태현 국민연금 이사장이 포스코그룹 차기 회장 선출과 관련, 절차상 개선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김태현 이사장은 28일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소유분산 기업인 포스코홀딩스 대표 선임은 KT 사례 때 밝힌 바와 같이 주주이익이 극대화 될 수 있도록 내·외부인 차별 없는 공평한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인선단계부터 후보추천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에서 주주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 이사장은 이날 포스코홀딩스 회장 선출과 관련 국민연금 이사장의 입장을 묻는 본지 질문에 이 같이 밝혔다.

포스코홀딩스가 최근 새로운 지배구조 개선안을 마련해 최정우 현 회장이 자동으로 연임에 나설 수 있게 ‘CEO 후보추천위원회(후추위)’를 구성한 것 관련해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사외이사 7명으로 구성한 포스코 CEO 후추위가 별도 공모절차 없이 최 회장을 자동으로 1차 후보군에 포함하는 길을 열었기 때문이다.

김 이사장은 “공정하고 투명한 기준, 절차에 따라 회장 선임 절차가 공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제도로는 무늬만 경쟁일 뿐 실질적인 경쟁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본 것이다. 그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기존의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된 기구가 공정하고 주주의 이익을 충분히 대변할 수 있는지는 주주, 투자자와 시장에서 적절히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가 현직 회장 연임을 우선 심사하는 ‘셀프 연임제’를 폐지하고 외부의 입김을 막겠다는 취지로 제도를 바꿨지만 김 이사장은 실질 유효 경쟁의 길을 오히려 차단했다고 본 것이다.

김 이사장은 포스코 차기 회장 선출 과정은 KT에서 새롭게 진행한 CEO 선출 선례를 제시했다. 그는 “CEO 후보 직접공모, 후보선정을 위한 외부전문가 중심의 인선자문단 제도, 새로 선임된 사외이사 중심의 위원회를 통한 CEO 후보 추천 등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KT도 처음에는 현직 대표의 자동 연임을 추진했었다. 지난해 12월 말 KT 이사회가 구현모 대표를 차기 대표로 결정하자 반대에 부딪혔다. 이후 구 대표가 본인의 영향력이 큰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이사추천위원회를 열었고, 구 대표와 가까운 윤경림 당시 KT 사장을 대표로 추천했다. 하지만 강한 반발을 샀고, 결국 윤 대표까지 낙마했다.

김 이사장이 포스코그룹 차기회장 선출 절차에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회장 선출과정이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졌다. 최 회장의 영향력이 큰 사외이사를 배제하고 실질 경쟁이 가능하도록 후추위를 재구성할 경우 내년 3월 주주총회까지 차기 회장을 선출하지 못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