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연금과 보험

내년 실손보험료 평균 1.5% 오른다…자동차보험료는 인하(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손해율 급등에도 작년보다 인상률 낮춰…1세대는 4%대 인하

연합뉴스

실손보험 (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보험사들이 상생금융 방안의 일환으로 실손보험료 인상률을 최소화하는 안을 내놨다. 손해율이 큰 3세대 실손 보험료는 올리는 대신 1세대를 인하해 평균 1.5% 올리기로 했다.

손해보험협회와 생명보험협회는 18일 설명자료를 내고 내년도 실손의료보험의 전체 인상률 평균(보험료 기준 가중평균)이 약 1.5% 수준으로 산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2022년 약 14.2%, 작년 약 8.9% 인상된 것보다 크게 낮아진 수치다.

세대별로 보면 1세대는 평균 4%대 인하율이 산출됐다.

2세대는 평균 1%대, 3세대는 평균 18%대 올리기로 했다. 2021년 출시된 4세대는 동결될 예정이다.

실손보험 손해율은 일부 비급여 항목의 과잉 진료 문제로 지속해서 상승하는 추세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손보험 손해율은 121.2%로 작년(118.9%)보다 상승했다. 이 중 3세대 실손보험의 손해율은 작년 131.4%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 상반기 156.6%로 뛰었다. 손해율이 100%보다 높다는 것은 보험사들이 실손보험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는 의미다.

협회는 "내년도 보험료 인상률은 보험사들의 평균 수준으로, 모든 가입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인상률이 아니다"라며 "가입상품의 갱신주기·종류·연령·성별 및 보험회사별 손해율 상황 등에 따라 개별 가입자에게 적용되는 인상률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보험업계는 실손보험 손해율 상승이 지속되는 만큼 도수치료·영양제 주사 등 일부 문제 비급여 항목에 대해 실행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해 관계 당국에 건의한다는 방침이다.

손해보험사들은 이와 함께 사회적 책임 강화 차원에서 자동차보험료도 인하하기로 했다.

손해보험협회는 "최근 고금리와 물가 상승 등에 따른 국민들의 어려움을 함께 나누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대다수 국민이 가입한 자동차보험료 인하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보험료 인하 여부와 인하 폭, 시행 시기 등 세부 사항은 개별 보험사 사정에 따라 결정한다. 이르면 이번 주부터 인하 폭이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보험업계에서는 지난번보다 참여 보험사가 많아지고 인하 폭도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

평균 인하율은 2.5% 수준에 달하고, 보험사별로 최대 3%를 인하하는 곳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금융당국과 보험업권은 자동차·실손보험 등 보험료 부담 경감, 보험계약대출 이자 부담 완화, 소비자 편익 제고 등을 골자로 하는 상생금융 방안을 마련했다.

srcha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