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전두환과 노태우

전두환 유해 파주 안장 무산…‘서울의 봄’도 영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1981년 3월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제12대 전두환 대통령 취임식. [매경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를 안장하려던 계획이 물거품이 됐다. 파주 지역에서 거센 반발이 일어난 가운데 토지(산) 매매 가계약 기간이 완료됐는데도 본계약이 체결되지 않자 토지주가 매매하지 않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최근 전두환 전 대통령의 12·12 군사 반란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이 누적 관람객 500만명을 눈앞에 두고 있는 가운데 전 전 대통령의 유해 안장 계획에 이목이 집중된 상황에서 나온 결정이다.

6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안치될 것으로 알려진 사유지의 소유자는 연합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가계약 기간이 이미 끝났는데 본계약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매물을 거둬들였으며 앞으로도 팔 생각이 전혀 없다”고 전했다.

해당 토지 소유자는 지난해 3월 지인들과 토지 매매를 위한 가계약을 맺었다. 이 토지에 캠핑장과 요양원을 짓기 위해서는 군 당국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매수자 측에서 이 절차를 마무리하지 못해 정식계약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매일경제

지난달 30일 경기도 파주시 아동동 파주시청 앞에서 겨레하나파주지회와 민족문제연구소고양파주지부, DMZ생태평화학교 등 11개 시민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전두환 파주 장산리 매장을 반대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는 “우리 산(6만6000㎡)을 캠핑장과 요양원으로 개발하고 싶다고 찾아와서 가계약했다”며 “올해 10월까지 관련 인허가를 마치고 본계약을 하기로 했었는데 성사되지 않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 땅에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안장된다는 언론보도가 나오면서 부담을 느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이에 따라 2년 이상 서울 연희동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인 전 전 대통령의 유해는 당분간 안장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 전 대통령을 회고록을 통해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며 사실상의 유언을 남긴 바 있다. 유족은 이를 반영해 휴전선과 가까운 곳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해 왔다.

파주지역에서는 거센 반발이 일었다. 겨레 하나 파주지회 등 11개 시민단체가 지난달 30일 매장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장산리 뿐 아니라) 파주 그 어디에도 학살자 전두환을 편히 잠들게 할 곳은 없다”며 반발한 것이다.

파주시가 지역구인 더불어민주당 박정(파주시 을) 국회의원도 보도자료를 통해 “대한민국 광주를 피로 물들이고 죽을 때까지 사과 한마디 없었던 폭군이 무슨 자격으로 파주에 오느냐”고 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