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27 (토)

이슈 미술의 세계

일본서 ‘도자기 신’ 된 조선 도공 이삼평의 숨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일 고미술전 100여점

일본 컬렉터들이 내놓은

고려청자·조선백자 눈길

문화재 합법적 환수 의미도

매일경제

청화백자에 그려진 용의 발톱이 다섯개다. 왕실용으로 추정된다. <헬렌앤제이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이 오늘날 도자기 왕국이 된 데는 임진왜란 때 끌고 간 조선의 수많은 도공이 있었다. 이 가운데 일본에서 ‘도자기의 신’ 도조로 추앙받는 인물이 이삼평이다. 그는 아리타에서 백자 광산을 발견하고 일본 최초로 백자를 만들었다. 아리타가 세계적인 도자기 마을이 된 것도 그 뿌리에는 조선 도공 이삼평이 있었다. 이들이 전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일본은 17세기부터 유럽에 도자기를 수출해 근대화를 추진할 토대를 마련했다.

이삼평의 후예들이 빚은 도자기 70여점이 대거 한국에 나들이를 다. 서울 팔판동 헬렌앤제이갤러리에서 여는 ‘백년만의 귀환, 조선 도공 이삼평의 전승’ 전시를 위해서다. 한일 고(古)도자기 전시라는 의미에 걸맞게 전시장 1층에는 일본 컬렉터들이 소장하고 있는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30여점도 국경을 넘었다. 총 100여점의 한일 도자기 전시가 성사된 셈이다.

한국의 국보급 문화재는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 때 대거 일본으로 넘어갔다. 가끔 일본 경매에서 한국 도자기가 나오면 관심을 끌기는 했지만 이처럼 많은 유물들이 국내에서 선보이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다.

100여점 가운데 가장 대표작은 19세기 조선 청화백자 용봉문 대접이다. 앞뒷면에 용과 봉황을 수려하게 그린 이 청화백자는 용의 발톱이 다섯개여서 눈길을 끈다. 왕실에서 특별한 목적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유다. 다만 뚜껑과 한 쌍으로 된 작품인데 뚜껑이 소실돼 있어 아쉬움을 준다.

13세기 고려청자 상감화문병도 오묘한 빛깔을 뽐낸다. 전라도 강진이나 부안의 관요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며 몸통 중앙에 그려져 있는 꽃그림이 수려하다. 외출할 때 물이나 술을 담아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분청사기 연화문 장군도 분청사기 특유의 편한한 질감과 색감으로 시선을 잡아끈다.

매일경제

조선 전기 호남 지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분청사기 특유의 박지장식기법이 잘 표현돼 있다. <헬렌앤제이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시장 2~3층에는 이삼평의 후예들이 빚은 일본 특유의 화려한 도자기들이 관람객을 맞이한다. 아리타에서 처음으로 도자기 생산에 성공한 자기를 초기 이마리라고 부르는데, 소박하면서도 힘과 기세 있는 필치가 특징이다.

전시를 기획한 정희자 헬렌앤제이갤러리 대표는 “일본 현지 소장가를 설득하는데 1년이 걸렸다”며 “국내에서 판매된다면 합법적 문화재 환수라는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일본 도쿄에서 ‘청고당’을 운영하는 재일동포 김강원 대표도 전시에 힘을 보탰다.

1년 전 한국의 젊은 작가를 미국에 알리기 위해 개관한 헬렌앤제이갤러리는 이번에 고미술 전시까지 기획하며 보폭을 넓혔다. 전시는 12월 15일까지.

매일경제

조선 도공 이삼평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초기 이마리 청화 산수화 대접. 한 폭의 수묵화를 보는 듯하다. <헬렌앤제이갤러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