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우리들의 문화재 이야기

군산 선유도 해역서 선사시대 해양 활동 흔적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중 발굴조사에서 간돌검 발굴

백자비문접시, 청자사이호 등도 발견

군산 선유도 해역이 선사시대부터 이어져 온 해양 활동 거점으로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 4월부터 10월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해 폭넓은 시기를 아우르는 유물 180여 점을 발굴했다고 27일 전했다. 청동기시대 간돌검을 비롯해 삼국시대 토기, 후백제 시대 기와, 고려청자, 분청사기, 백자, 도기, 근대 옹기 등이다.

아시아경제

청동기 시대 것으로 추정되는 간돌검 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가장 주목받는 유물은 수중 발굴조사에서 처음 발굴된 간돌검. 청동기시대부터 선유도 해역에서 해상활동이 이뤄져 왔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그간 선유도 조개무지(먹고 버린 조개껍데기가 쌓여 형성된 쓰레기더미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로 선사시대 사람들이 거주했던 사실은 확인됐으나 당시 해상활동이 있었는지는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다.

중국 남송 대에 제작된 백자비문접시(白磁?文?匙)와 청자사이호(靑磁四耳壺)도 주목할 가치가 있다. 선유도는 고려로 오는 사신이 묵었던 객관인 군산정이 있었던 곳. 이 유물들은 과거 중국을 오가는 선박의 중간 기착지로 알려진 사실을 실증하는 자료로 평가된다. 더불어 선유도 해역에 중국 고선박이 매장됐을 가능성을 가리킨다.

아시아경제

올해 선유도 해역에서 발굴한 다양한 시기 유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선유도 해역은 2020년 수중에서 유물을 목격했다는 잠수사의 신고로 조사가 시작됐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지난해까지 고려청자, 조선 시대 분청사기·백자 등 유물 500여 점을 발굴했다. 이를 토대로 조사해역 인근에 침몰한 고선박이 매장됐다고 추정해 내년에도 발굴조사를 이어갈 방침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